Close

본성이 순박하고 욕망이 담박함이 인생 제일이다 <채근담>


농부나 시골의 늙은이는

닭고기와 막걸리 이야기에는 바로 기뻐하지만

큰 연회의 고급요리는 물어도 알지 못하고

헌솜 둔 도포와 베잠방이 이야기는 그저 좋아하지만

고위 관료의 예복은 물어도 알지 못한다.

그것은 본성이 순박하고 욕망이 담백하기 때문이니

이것이 바로 인생살이 제일의 경계이다.


田夫野叟,  語以黃雞白酒則欣然喜,  問以鼎食則不知.
전부야수,  어이황계백주즉흔연희,  문이정식즉부지.
語以縕袍短褐則油然樂,  問以袞服則不識.
어이온포단갈즉유연락,  문이곤복즉불식.
其天全,  故其欲淡,  此是人生第一個境界.
기천전,  고기욕담,  차시인생제일개경계.

<菜根譚채근담/明刻本명각본(萬曆本만력본)/後集후집>


  • 전부[田夫]  농부(農夫).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 농사(農事)짓는 일을 직업(職業)으로 하는 사람. 참고로, 왕유(王維)의 시 위천전가(渭川田家)에 “꿩이 우니 보리에 이삭 패고, 누에는 잠들어 뽕잎 드무네. 농부들은 호미를 메고 서서, 마주보며 정담을 이어가네.[雉雊麥苗秀, 蠶眠桑葉稀. 田夫荷鋤立, 相見語依依.]”라고 한 데서 보이고, 구당서(舊唐書) 권190하 문원열전 두보(杜甫)에 “두보가 일찍이 성도의 완화리에다 대와 나무들을 심고 강가에 집을 짓고는 마음대로 술을 마시고 시가를 읊고 지내면서 농부나 촌 늙은이들과 서로 친압하고 방탕하게 어울려 조금도 자신을 검속한 바가 없었다.[甫於成都浣花里, 種竹植樹, 結廬枕江, 縱酒嘯詠, 與田夫野老, 相狎蕩無拘檢.]”라고 한 데서 보인다.
  • 야수[野叟]  시골 노인. 시골에서 사는 늙은이. 야옹(野翁). 야로(野老).
  • 흔연[欣然]  기쁘거나 반가워 기분이 좋은 모양. 기꺼이. 달갑게. 흔연히. 쾌히. 선뜻. 즐겁게. 유쾌하게. 참고로, 진서(晉書) 왕희지열전(王羲之列傳)에 “산음에 한 도사가 좋은 거위를 기르고 있었는데, 왕희지가 가 보고는 맘속으로 매우 좋아하여 도사에게 그 거위를 팔아 달라고 애써 요구하자, 도사가 말하기를 ‘나를 위해 도덕경(道德經)을 써 준다면 의당 거위 떼를 몽땅 들어주겠다.’고 하므로, 왕희지가 흔연히 도덕경을 다 쓰고 나서는 거위를 농에 담아 가지고 돌아가서는 매우 즐거워했다.[山陰有一道士養好鵝, 羲之往觀焉, 意甚悅, 固求市之. 道士云, ‘爲寫道德經, 當擧群相贈耳.’ 羲之欣然寫畢, 籠鵝而歸, 甚以爲樂.]”라고 한 데서 보이고 남사(南史) 권76 도홍경전(陶弘景傳)에 “그가 특히 솔바람 소리를 좋아한 나머지 정원에 온통 소나무만 심어 놓고는 그 음향을 들을 때마다 흔연히 즐거워하였다.[特愛松風, 庭院皆植松, 每聞其響, 欣然爲樂.]”라는 기록이 있다.
  • 백주[白酒]  술 빛깔이 흰 탁주. 수수를 원료로 하여 빚은 소주(燒酒). 중국 특산의 술로, 빛깔이 없고 투명하다. 쌀이나 수수로 빚은 도수가 높은 열주(烈酒)를 이르기도 한다. 고량주(高粱酒). 배갈. 고량소주(高粱燒酒). 막걸리.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 남릉서별(南陵敍別: 남릉별아동입경南陵別兒童入京)에 “백주가 처음 익자 산중으로 돌아오니, 누런 닭 기장 쪼아 먹어 가을에 마침 살쪘네. 아이 불러 닭 잡게 하고 백주 마시니, 아녀들 재롱부려 웃으며 사람 옷 잡아끄네.[白酒初熟山中歸, 黃鷄啄黍秋正肥. 呼童烹雞酌白酒, 兒女嬉笑牽人衣.]”라고 한 데서 보이고, 한유(韓愈)의 시 파주(把酒)에 “요란스레 명성을 치달리는 자들이야, 어느 누가 하루라도 한가할 수 있으리오. 나는야 여기 와서 짝할 사람 없으니, 술잔 들고 한가로이 남산을 대하노라.[擾擾馳名者, 誰能一日閒? 我來無伴侶, 把酒對南山.]”라고 한 데서 보이고, 태평어람(太平御覽) 위략(魏略)에 “태조 때 술을 금하였으나 사람들이 몰래 마셨다. 그러므로 술이라 말하기 어려워 백주를 현인, 청주를 성인이라 하였다.[太祖時禁酒 而人竊飮之 故難言酒 以白酒爲賢人 淸酒爲聖人]”라고 하였다.
  • 정식[鼎食]  솥을 늘어놓고 식사함. 솥을 좍 벌여 놓고 음식을 먹는다는 뜻으로 매우 귀한 사람의 식사나 진수성찬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밥을 먹을 때에는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의미로 매우 부귀하고 호화스러운 생활을 뜻한다. 참고로, 장구령(張九齡)의 시 감우(感遇)에 “호사스런 생활은 내 바람이 아니고, 구름 낀 산 속 삶을 일찍부터 바랐었네.[鼎食非吾事, 雲山嘗我期.]”라고 하였고,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마을에 들어찬 집들은 종을 치고 솥을 늘어놓고 먹는 집들이다.[閭閻撲地, 鍾鳴鼎食之家.]”라고 한 데서 보인다. 종명정식(鐘鳴鼎食).
  • 종명정식[鐘鳴鼎食]  집안에 사람이 많아서 밥 먹을 시간이 되면 종을 쳐서 모이게 하고, 밥을 먹을 때에는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의미로 매우 부귀한 집안의 호사스러운 생활을 뜻한다. 참고로, 당(唐)나라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마을에 들어찬 집들은 종을 울려 사람을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밥을 먹는 집들이요. 큰 배들이 댈 곳을 찾아 서성거리는데 고물에는 청작, 황룡을 그린 배들이로다.[閭閻撲地, 鐘鳴鼎食之家. 舸艦迷津, 靑雀黃龍之舳.]”라고 하였고, 사기(史記) 화식열전(貨殖列傳)에 “칼 가는 것은 보잘것없는 기술이지만, 질씨(郅氏)는 솥을 죽 늘여놓고 식사를 하였다 … 말의 병을 치료하는 것은 별것 아닌 의술이지만, 장리(張里)는 종(鍾)을 쳤다.[灑削, 薄伎也, 而郅氏鼎食…馬醫, 淺方, 張里擊鍾.]”라고 한데서 보인다.
  • 오정식[五鼎食]  오정식(五鼎食)은 소·돼지·양·물고기·사슴 등 다섯 종류의 육미(肉味)를 갖춘 음식으로서, 풍성하게 대접하는 것. 고관(高官)의 후록(厚祿)을 뜻한다. 옛날에 대부는 오정(五鼎)의 육류(肉類)로 제사했다. 고관대작의 호사한 생활을 비유한다. 오정(五鼎)은 제례(祭禮)를 행할 때 대부(大夫)가 사용하는 5개의 정(鼎)으로, 각각 양(羊)·시(豕)·부(膚)·어(魚)·석(腊) 등 5가지 음식을 담았다. 한(漢)나라의 학자이자 관료인 주보언(主父偃)이 오랜 고생 끝에 무제(武帝) 때 상언(上言)한 일을 계기로 중용되어 제후왕의 부정(不正)을 고발하여 뇌물 챙기기를 일삼다가 너무 전횡이 심하다는 충고를 받았다. 이에 그는 40년 동안 미천한 신분으로 당한 수모를 열거한 다음 “대장부가 살아서 오정(五鼎)의 음식을 먹는 호사를 누리지 못한다면 죽어서 오정(五鼎)에 삶기는 형벌을 당할 뿐이다. 나는 해가 저무는데 갈 길은 먼 처지이므로 상규(常規)를 어기고 급히 행하는 것이다.[且丈夫生不五鼎食, 死即五鼎烹耳. 吾日暮途遠, 故倒行暴施之.]”라고 하였다. 나중에 그는 제왕(齊王)을 후사 없이 자살하게 압박했다는 죄목으로 멸족 당하였다. 여기에서 ‘오정을 벌여놓고 먹는다’는 것은 고관대작을 지낸다는 뜻이며, ‘오정의 팽형을 당한다’는 것은 솥에 넣어 끓여 죽이는 혹형을 당한다는 뜻이다. <史記 卷112 主父偃列傳>
  • 온포[縕袍]  고대에 비단이나 솜을 살 수 없던 가난한 사람들이 마포(麻布)나 갈포(葛布)로 지어 입던 옷. 삼[麻]을 삼을 때 골라내거나 잘라내고 남은 것을 솜처럼 만들어 안을 둔 웃옷. 묵은 솜을 둔 도포(道袍). 헌 솜으로 만든 두루마기로 크고 헐렁하고 긴 옷. 크기가 넉넉하고 소매가 넓은 솜옷. 겨울철에 침구로도 씀. 참고로, 논어(論語) 자한(子罕)에 “해진 솜옷을 입고서 여우나 담비 가죽옷을 입은 자와 나란히 서서도 부끄러워하지 않을 자는 아마도 유(由)일 것이다.[衣敝縕袍 與衣狐貉者立 而不恥者 其由也與]”라는 공자의 말이 나오는데, 주희(朱熹)가 집주(集註)에서 “온(縕)은 수삼으로 만든 솜이고, 포(袍)는 옷에 솜을 넣은 것이니, 대개 옷 중에 천한 것이다.[縕枲著也 袍衣有著者也 蓋衣之賤者]”라고 하였다. 유(由)는 중유(仲由) 즉 자로(子路)를 말한다.
  • 단갈[短褐]  거친 베로 만든 짧은 옷. 굵은 베로 짧게 지은 옷. 짧은 베잠방이. 짧은 털옷. 비유하여 천한 사람이 입는 옷을 이른다. 참고로, 진(晉)나라 때 고사(高士) 도잠(陶潛)의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에 “토담집이 쓸쓸하여 바람과 햇빛도 가리지 못하고, 짧은 갈옷은 뚫어지고 기웠으며, 대그릇의 밥과 표주박의 물이 자주 떨어졌으나 태연하였다.[環堵蕭然, 不蔽風日, 短褐穿結, 簞瓢屢空, 晏如也.]”라고 하였다.
  • 유연[油然]  마음이 흐뭇하다. 생각이나 감정이 저절로 일어나는 모양. 구름 따위가 뭉게뭉게 이는 모양. 구름이 힘 있게 피어나는 모양. 마음에 끼지 않는 태연한 모양. 머뭇거리며 나아가지 않는 모양. 맹자(孟子) 양혜왕 상(梁惠王上)에 “7월과 8월 사이에 날씨가 가물면 볏모가 마른다. 그러다가 하늘이 구름을 뭉게뭉게 일으켜서 세차게 비를 내리면 모가 쑥쑥 자라게 된다.[七八月之間, 旱則苗槁矣. 天油然作雲, 沛然下雨, 則苗勃然興之矣.]”라고 한 데서 보이고, 예기(禮記) 악기(樂記)에 “예악은 잠시라도 몸을 떠날 수 없다. 음악을 익혀서 마음을 다스리면 평이하고 곧고 자애롭고 신실한 마음이 유연히 생기는 것이다.[禮樂不可斯須去身. 致樂以治心, 則易直子諒之心油然生矣.]”라고 한데서 보인다.
  • 곤복[袞服]  천자나 왕공이 입은 곤룡포(袞龍袍). 고관의 예복(禮服). 곤의(袞衣). 삼공(三公)의 공복(公服)으로, 옛날에 천자가 상공(上公)에게 곤의(衮衣)를 내렸다고 한다. 곤복을 하사받는 것은 매우 특별한 은총의 영광이 된다.
  • 천전[天全]  천성이 온전하다. 천성을 보전하다. 어떤 상해도 입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상태.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자연환경, 사람, 사물, 이치의 원시상태를 가리킨다.
  • 순박[淳朴]  순량하고 소박함. 거짓이나 꾸밈이 없이 순수하며 인정이 두터움. 소박하고 순진하다. 순박(醇樸).
  • 욕담[欲淡]  욕심이 없고 마음이 깨끗함. 무욕담백(無欲淡白).
  • 경계[境界]  인식할 수 있고 판단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것. 지역이 구분되는 한계. 일이나 물건이 어떤 표준 아래 맞닿은 자리. 사물이 어떠한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 어떤 지역과 다른 지역 사이에 일정한 기준으로 구분(區分)되는 한계. 인과(因果)의 이치(理致)에 따라 스스로 받는 과보(果報). 인과응보의 이치에 따라 자기가 놓이게 되는 처지.
  • 경지[境地]  정신이나 몸, 기술 따위가 도달해 있는 일정 수준 이상의 단계나 상태. 학문이나 예술 따위에서 일정한 체계로 이루어진 어떤 영역이나 분야. 일정한 경계 안의 땅. 한 곳의 풍치(風致), 환경(環境), 경계(境界)가 되는 땅. 자기의 특성과 체계로 이루어진 분야. 학문, 예술, 인품 따위에서 일정한 특성과 체계를 갖춘 독자적인 범주나 부분.

【譯文】 天全欲談,  雖凡亦仙.
田間農夫村野老叟,  告訴他們白切雞老米酒就非常愉快喜悅,  問他們美味珍饈就茫然不知  ;  告訴他們粗棉袍布短衣就自然而然歡樂,  問他們龍衣官服就渾然不懂.  他們保全了純樸本性,  所以他們的欲望很淡泊,  這才是人生第一等的境界.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