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두탕[豆湯], 두태후[竇太后], 두통[斗桶], 두통산[頭痛山], 두통전질[頭痛顚疾], 두통첩[肚通帖]


두탕[豆湯]  콩죽.

두탕호청사[杜蕩護淸司]  연산군 때에 늙은 흥청(興淸: 연산군이 모아들인 기녀를 이르는 말)들이 말썽을 일으킬까봐 집을 마련하여 살게 하고 관리하던 곳이다. 후정·흥청의 지용(支用)·수호·방금 등을 관리하는 곳.

두태[豆太]  두는 소두(小豆)를 이르고 태는 대두(大豆)를 이르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 콩을 총칭하는 말로 쓰인다.

두태주[竇太主]  관도공주(館陶公主)이다. 한 무제(漢武帝)의 고모로 황후 진 씨(陳氏)의 어머니이다. 당읍후(堂邑侯)인 진오(陳午)와 혼인하여 낳은 딸이 무제의 황후가 됐다. 두태후(竇太后)의 딸이므로 두태주라 한다.

두태후[竇太后]  이름은 의방(猗房)으로 청하(淸河) 관진(觀津) 사람이다. 어려서 아비를 잃어 집안이 가난했는데 입궁하여 여후(呂后)의 시중을 들다가 대왕(代王) 유항(劉恒: 한문제漢文帝)에게 보내져 총애를 받았다. 유항이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는데, 병 때문에 실명하였다. 아들인 경제(景帝)가 즉위하자 황태후(皇太后)로 높여졌으며, 손자인 무제(武帝)가 즉위하자 태황태후(太皇太后)로 높여져 권력을 장악하였다. 황로학(黃老學)을 좋아하여 경제와 두씨(竇氏) 일족들이 그 영향을 받았으며 유학(儒學)에 우호적이었던 두영(竇嬰)·전분(田蚡)·조관(趙綰)·왕장(王臧) 등을 배척하였다. 사기(史記)에는 건원(建元) 6년(기원전 135)에 병사했다고 되어 있으며, 한서(漢書)에는 원광(元光) 6년(기원전 129)에 병사했다고 되어 있다.

두태후[杜太后]  송 태조(宋太祖)의 비(妃)이다.

두통[斗桶]  곡식을 재는 용기로 1통(桶)은 6말이다.

두통산[頭痛山]  지금의 중국 신강(新疆) 지역에 있던 피산국(皮山國)이라는 나라는 장안(長安)에서 1만 5천 리 떨어져 있는데, 이 피산국에서 서쪽으로 가 대두통산(大頭痛山)과 소두통산(小頭痛山)에 이르게 되면 몸에 열이 나고 안색이 창백해지며 두통이 나는 등 고산병 증세가 생긴다고 한다. <漢書 卷88 西域傳>

두통전질[頭痛顚疾]  황제내경소문(黃帝內經素問) 오장생성(五藏生成)에 “머리가 아프다가 정수리까지 아픈 것은 하초(下焦)가 허약하고 상초(上焦)가 충실하기 때문이다. 그 질병 부위[過]는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있는 것으로, 심하면 신장(腎臟)으로 들어간다. 현기증이 나면서 몸을 가누지 못하다가 아득해지면서 귀가 안 들리는 것은 하초가 충실하고 상초가 허약하기 때문이다. 그 질병 부위는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과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에 있는 것으로, 심하면 간(肝)으로 들어간다.[頭痛顚疾, 下虛上實. 過在足少陰巨陽, 甚則入腎. 徇蒙招尤, 目冥耳聾, 下實上虛. 過在足少陽厥陰, 甚則入肝.]”라고 하였다.

두통첩[肚通帖]  장욱(張旭)의 초서(草書) 서간(書簡)으로 두통첩(肚通帖)이 있다. 장욱(張旭)은 중국 당(唐) 나라의 서예가로 술을 몹시 좋아하고 취흥이 오르면 필묵을 잡아 초서를 잘 썼으며, 필법을 안진경(顔眞卿)과 이백(李白)에게 전하였다고 한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