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가악[登歌樂] 궁궐(宮闕)의 섬돌 위와 같은 당상(堂上)에 올라가서 공연하는 연주(演奏)와 노래, 또는 그 형식으로 당상악(堂上樂)이라고도 한다. 등가악(登歌樂)은 아악(雅樂) 편성의 하나로 노래와 현악(絃樂)을 주로 하는 소규모(小規模)의 주악 형식이다. 중국(中國) 주(周)나라에서 유래되어 한(漢)나라·당(唐)나라 때 발전하여 원(元)나라 이후 쇠퇴하였다. 우리나라에는 고려(高麗) 예종(睿宗) 때 송(宋)나라로부터 전래되었다.
등가일무[登歌佾舞] 등가(登歌)와 일무(佾舞). 등가는 궁궐의 섬돌 위와 같은 당상(堂上)에 올라가서 공연하는 연주(演奏)와 노래, 또는 그 형식으로 당상악(堂上樂)이라고도 한다. 일무는 종묘나 문묘의 제향 때 악생(樂生)이 아악(雅樂)의 연주에 맞추어 추던 춤으로, 문무(文舞)와 무무(武舞)가 있다.
등가지악[登歌之樂] 궁중 음악의 주악 편성법(奏樂編成法)의 한 가지. 노래를 주로 하고 현악을 많이 사용하는 궁중 음악의 주악 편성의 하나. 궁중 연례(宴禮)나 제향(祭享) 때에 당상(堂上)에 악기를 배설하고 조종(祖宗)의 공덕(功德)을 노래하는 악(樂)이다. 궁중 음악의 주악 편성법(奏樂編成法)의 한 가지.
등가헌가[登歌軒架] 등가(登歌)·헌가(軒架). 궁중의 음악. 등가(登歌)는 당상악(堂上樂)으로 노래를 주로 하고 현악기가 주인데 반해 헌가(軒架)는 당하악(堂下樂)으로서 대례(大禮)·대제(大祭) 때 많이 쓰이고 악기로는 쇠북·경쇠·북 등 타악기가 주종을 이루었다.
등가헌가[登歌軒架] 등가는 나라의 제사를 거행하거나 대규모의 조회 때 악사가 댓돌 위에 올라가 연주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것, 혹은 댓돌 위에 배설하는 악대를 가리킨다. 헌가는 당(堂) 아래에 배설하며 당 위에 배설하는 등가(登歌)와 짝을 이루며, 주로 비파 등 현악기로 구성된다. 편경과 편종 등 타악기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악대(樂隊)이다.
등가헌가[登歌軒架] 등가(登歌)와 헌가(軒架). 궁중 음악(宮中音樂)의 주악 편성(奏樂編成) 법으로, 등가(登歌)는 대제(大祭) 때 당상(堂上)에서 노래를 주로 부르고 현악기(絃樂器)를 많이 사용하였다. 헌가(軒架)는 당하악(堂下樂)으로, 종(鍾)·경(磬)·북[鼓]을 가(架)에 달고 연주한다.
등각[滕閣] 등왕각(滕王閣)의 준말로 중국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유명한 정각(亭閣)이다. 등왕(滕王) 이원영(李元嬰)이 세우고 왕발(王勃)이 서(序)를 썼다. 초당사걸(初唐四傑) 중 한 사람인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로 유명하다.
등각사루[滕閣謝樓] 중국의 유명한 누각이다. 사루(謝樓)는 남조(南朝) 제(齊)나라의 사조(謝眺)가 선성 태수(宣城太守)로 있을 때 지은 누각으로, 사공루(謝公樓)라고 부른다. 등각(滕閣)은 당 고조(唐高祖) 이연(李淵)의 아들 등왕(滕王) 이원영(李元嬰)이 홍주 자사(洪州刺史)로 있을 때 지은 누각으로, 등왕각(滕王閣)이라 부른다. 황학루(黃鶴樓), 악양루(岳陽樓)와 더불어 강남 3대 명루(江南三大名樓)의 하나로 일컬어진다.
등각삼왕[滕閣三王] 등왕각(滕王閣)의 삼왕(三王). 한유(韓愈)의 신수등왕각기(新修滕王閣記)에 그 내용이 나온다. 삼왕은 등왕각서(滕王閣序)를 지은 왕발(王勃), 등왕각부(滕王閣賦)를 지은 왕서(王緖), 중수등왕각기(重修滕王閣記)를 지은 왕중서(王仲舒)를 이른다.
등각일전[等覺一轉] 깊은 경지(境地)에 이르러 그 길의 한 파(派)를 새로 엶. 등각(等覺)에서 일전(一轉)하여 묘각(妙覺)의 자리에 이른다고 한 마사지관(摩詞止觀)에서 유래(由來)
등각장천[滕閣長天] 당(唐)나라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저녁노을은 짝 잃은 따오기와 나란히 떠서 날고, 가을 강물은 드넓은 하늘과 한 가지 빛이로다.[落霞與孤鶩齊飛, 秋水共長天一色.]”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