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등고구일[登高九日], 등고낙모[登高落帽], 등고능부[登高能賦], 등고불률[登高不慄]


등고구망원해[登高丘望遠海]  악부(樂府) 상화가사(相和歌辭) 가운데 하나로, 이백의 작품이 대표적이다. 등고구이망원해(登高丘而望遠海)나 등고구이망원(登高丘而望遠)으로 표기된 곳도 있다.

등고구일[登高九日]  구일등고(九日登高). 남조(南朝) 양(梁) 오균(吳均)이 지은 속제해기(續齊諧記) 구일등고(九日登高)에 “여남 환경(桓景)이 비장방(費長房)을 따라 여러 해 동안 유학하였다. 비장방이 오균에게 말하기를, ‘9월 9일에 너희 집에 재앙이 있을 것인데 빨리 집으로 가 식구들마다 붉은 주머니를 만들어 거기에다 수유를 담아 팔에 차고 높은 곳에 올라가 국화주(菊花酒)를 마시면 그 화를 면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환경이 그의 말처럼 온 가족이 산에 올라갔다가 저녁에 돌아와 보니 가축이 갑자기 죽어 있었다.”고 하였다.

등고낙모[登高落帽]  9월 9일 중양절을 맞아 높은 곳에 올라 국화주를 마셨던 풍속을 말한 것이다. 등고(登高)는 높은 곳에 오른다는 말로, 중양절에는 높은 곳에 올라 재액(災厄)을 피하는 풍속이 있었다. 낙모(落帽)는 모자를 떨어뜨린다는 말로, 진(晉)나라 맹가(孟嘉)가 중양절에 환온(桓溫)이 베푼 용산(龍山)의 주연(酒宴)에 참석했다가, 술에 흠뻑 취한 나머지 바람에 모자가 날아가는 것도 깨닫지 못했다는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識鑑>

등고난만취[登高爛慢醉]  산에 올라 마냥 취함. 세속에서, 9월 9일이 되면 높은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는 속례를 말한다. <續齊諧記>

등고능부[登高能賦]  군자(君子)는 높은 산에 오르면 반드시 시를 지어 회포(懷抱)를 품. 높은 곳에 올라서 시를 잘 읊는 것은 고대 대부(大夫)가 갖추어야 할 아홉 가지 재능[九能] 중 하나이다. 성어(成語)로 능부등고(能賦登高), 또는 등고필부(登高必賦)라 한다. 한서(漢書) 권30 예문지(藝文志)에 “전에 이르기를 ‘노래하지 않고 읊는 것을 부라고 한다. 높은 데에 올라가서는 시를 읊을 줄 알아야 대부의 자격이 있는 것이다.[傳曰 不歌而誦謂之賦 登高能賦可以爲大夫]’라고 하였다.”는 말이 나온다. 여기에서 전(傳)은 시경(詩經) 용풍(鄘風) 정지방중(定之方中)의 복운기길(卜云其吉)을 해설한 모전(毛傳)을 가리킨다. 또 한시외전(韓詩外傳) 권7에 공자(孔子)가 경산(景山)에 올라가 노닐 적에 자로(子路)와 자공(子貢)과 안연(顔淵)이 시종(侍從)하였는데, 공자가 그들에게 “군자는 높은 데에 올라가면 시를 읊어 소회를 토로하는 법이다. 너희들이 바라는 바는 무엇인가? 각자 원하는 것을 말해 보아라. 내가 너희들에게 한마디씩 일러주리라.[君子登高必賦 小子願者何 言其願 丘將啓汝]”라고 했다는 기록도 보인다. 참고로, 왕안석(王安石) 시에 “믿을 줄 아는 것이 대부의 재능이요, 부를 잘 짓는 것은 높은 곳에 오르는데 있다.[信知大夫才 能賦在登高]”라는 글귀가 있다.

등고불률 입수불유 입화불열[登高不慄 入水不濡 入火不熱]  높은 데 올라가도 두려워 떨지 아니하고, 물 속에 들어가도 젖지 아니하며, 불 속에 들어가도 뜨겁지 아니함.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옛날의 진인은 적다고 해서 거절하지 않으며, 공을 이루어도 뽐내지 아니하며, 인위적으로 일을 도모하지 않았다. 그 같은 사람은 실패하여도 후회하지 아니하며, 일이 합당하게 이루어져도 우쭐거리지 않는다. 그 같은 사람은 높은 데 올라가도 두려워 떨지 아니하고, 물 속에 들어가도 젖지 아니하며, 불 속에 들어가도 뜨겁지 아니하니, 이것은 지식이 도의 경지에 오름이 이와 같은 것이다.[古之眞人, 不逆寡, 不雄成, 不謨士. 若然者, 過而弗悔, 當而不自得也. 若然者, 登高不慄, 入水不濡, 入火不熱. 是知之能登假於道者也, 若此.]”라고 한 데서 보인다.

등고사[登高寺]  평안도 강서(江西)의 무학산(舞學山)에 있는 절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