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등고지흥[登高之興], 등고피액[登高避厄], 등고필부[登高必賦], 등고회[登高會]


등고절물[登高節物]  높은 곳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는 중양절(重陽節)의 경물(景物)이라는 뜻으로, 보통 국화꽃을 말한다. 옛날에 음력 9월 9일 중양절(重陽節)이면 사람들이 붉은 주머니에 수유(茱萸) 열매를 담아서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菊花酒)를 마셔 사기(邪氣)를 물리쳤다고 한다. 주머니에 수유를 담은 내력은 비장방(費長房)의 고사에서 온 것으로, 그 사실은 대략 다음과 같다. 후한(後漢) 때 환경(桓景)이 일찍이 선인(仙人) 비장방에게 가서 유학했는데, 하루는 비장방이 환경에게 이르기를 “9월 9일 너의 집에 재앙이 있을 것이니, 급히 가서 집안사람들로 하여금 각각 붉은 주머니에 수유를 담아서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서 국화주를 마시게 하면 이 재앙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므로, 환경이 그의 말에 따라 9월 9일에 과연 온 가족을 거느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저물녘에 내려와 보니, 계견우양(鷄犬牛羊) 등의 가축만 모두 일시에 다 죽어버리고 사람은 끝내 무사했다고 한다.

등고지흥[登高之興]  등고(登高)의 흥취. 옛날 풍속에 9월 9일 중양일(重陽日)에는 사람들이 붉은 주머니에 수유(茱萸)를 담아서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를 마셔 재액을 소멸시켰다는 데서 온 말이다. 주머니에 수유를 담은 데에 관한 내력은 비장방(費長房)의 고사에서 온 것으로, 그 사실은 대략 다음과 같다. 후한 때 환경(桓景)이 일찍이 선인(仙人) 비장방에게 가서 유학(遊學)했는데, 하루는 비장방이 환경에게 이르기를 “9월 9일 너의 집에 재앙이 있을 것이니, 급히 가서 집안사람들로 하여금 각각 붉은 주머니에 수유를 담아서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서 국화주를 마시게 하면 이 재앙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므로, 환경이 그의 말에 따라 9월 9일에 과연 온 가족을 거느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저물녘에 내려와 보니, 닭·개·소·양 등의 가축이 일시에 다 죽어 있었다고 한다.

등고피액[登高避厄]  후한(後漢) 때의 도사 비장방(費長房)이 그의 제자 환경(桓景)에게 “9월 9일에 너의 집에 재앙이 있을 것이다. 빨리 너의 집으로 돌아가 온 가족에게 붉은 주머니에 산수유를 담아 각자 팔목에 매어달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를 마시게 하라. 그렇게 하면 화를 면할 수 있을 것이다.[九月九日汝家當有災, 宜急去, 令家人各作絳囊, 盛茱萸以系臂, 登高飲酒, 此禍可除.]”라고 하였다. 환경이 스승의 말을 따라 온 가족을 데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저녁에 집에 돌아와 보니 가축들이 몰살당해 있었다. 비장방이 이 소식을 듣고 “가축들이 대신 화를 당한 것이구나.[此可以代也]”라고 하였다. 이후로 매년 중양절이 되면 사람들이 산에 올라 국화주를 마시고, 부인들은 붉은 비단 주머니에 수유를 담아 몸에 차는 풍속이 정착되었다. 당나라 왕유(王維)의 시에 “나 홀로 타향에서 나그네 몸이 되어, 명절이 돌아오면 부모 생각 사무친다. 아마도 산에 올라 유람하는 우리 형제, 산수유 꺾고 노는 자리에 나 하나만 빠졌겠지.[獨在異鄕爲異客 每逢佳節倍思親 遙知兄弟登高處 遍揷茱萸少一人]”라고 하였다. <古今事文類聚 前集 卷11 登高避厄> <王右丞集 卷14 九日懷山東兄弟>

등고필부[登高必賦]  높은 산에 오르면 반드시 시를 지어 회포(懷抱)를 품. 고대에 대부(大夫)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재능의 하나가 높은 곳에 오르면 후련히 트인 경관을 바라보고 시를 지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서(漢書) 권30 예문지(藝文志)에 “전에 이르기를 ‘노래하지 않고 읊는 것을 부라고 한다. 높은 데에 올라가서는 시를 읊을 줄 알아야 대부의 자격이 있는 것이다.[傳曰 不歌而誦謂之賦 登高能賦可以爲大夫]’라고 하였다.”는 말이 나온다. 여기에서 전(傳)은 시경(詩經) 용풍(鄘風) 정지방중(定之方中)의 복운기길(卜云其吉)을 해설한 모전(毛傳)을 가리킨다. 또 한시외전(韓詩外傳) 권7에 공자(孔子)가 경산(景山)에 올라가 노닐 적에 자로(子路)와 자공(子貢)과 안연(顔淵)이 시종(侍從)하였는데, 공자가 그들에게 “군자는 높은 데에 올라가면 시를 읊어 소회를 토로하는 법이다. 너희들이 바라는 바는 무엇인가? 각자 원하는 것을 말해 보아라. 내가 너희들에게 한마디씩 일러주리라.[君子登高必賦 小子願者何 言其願 丘將啓汝]”라고 했다는 기록도 보인다. 참고로, 왕안석(王安石) 시에 “믿을 줄 아는 것이 대부의 재능이요, 부를 잘 짓는 것은 높은 곳에 오르는데 있다.[信知大夫才 能賦在登高]”라는 글귀가 있다.

등고필자비[登高必自卑]  높은 곳에 오르려면 반드시 낮은 곳에서부터 시작함.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알려진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5장에 “군자의 도는 비유하자면 먼 곳을 가려 할 때는 반드시 가까운 곳으로부터 시작함과 같고, 높은 곳에 오르려 할 때는 반드시 낮은 데에서 시작함과 같다.[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라고 하였다.

등고회[登高會]  등고(登高)의 모임. 옛날에 국화가 피는 계절인 음력 9월 9일 중양절(重陽節)이면 문사(文士)들이 등고회(登高會)를 열어 시문을 짓고 국화주를 마시면서 풍류를 한껏 즐겼다. 당나라 왕유(王維)의 시 구월구일억산동형제(九月九日憶山東兄弟)에 “나 홀로 타향에서 나그네 몸이 되어, 명절이 돌아오면 부모 생각 사무친다. 아마도 산에 올라 유람하는 우리 형제, 산수유 꺾고 노는데 나 하나 빠졌으리.[獨在異鄕爲異客, 每逢佳節倍思親. 遙知兄弟登高處, 遍揷茱萸少一人.]”라고 하였다.

등고흥[登高興]  등고(登高)의 흥취. 국화를 감상하는 흥취를 말한다. 옛날에 국화가 피는 계절인 중양절(重陽節)이면 문사(文士)들이 등고회(登高會)를 열어 시문을 짓고 국화주를 마시면서 풍류를 한껏 즐겼다. 옛날 풍속에 음력 9월 9일 중양절(重陽節)에는 사람들이 붉은 주머니에 수유(茱萸)를 담아서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菊花酒)를 마셔 재액(災厄)을 소멸시켰다고 한다. 후한(後漢) 때 환경(桓景)이 일찍이 선인(仙人) 비장방(費長房)에게 가서 유학(遊學)했는데, 하루는 비장방이 환경에게 이르기를, “9월 9일 중양절에 너의 집에 재앙이 있을 것이니, 급히 가서 집안사람들로 하여금 각각 붉은 주머니에 수유를 담아서 팔뚝에 걸고 높은 산에 올라가서 국화주를 마시게 하면 이 재앙을 면할 것이다.”라고 하므로, 환경이 그의 말에 따라 9월 9일에 과연 온 가족을 거느리고 산에 올라갔다가 저물녘에 내려와 보니, 닭·개·소·양 등의 가축만 일시에 다 죽어 버리고 사람은 끝내 무사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續齊諧記>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