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만물필라[萬物畢羅], 만물함도[萬物咸覩], 만물화작[萬物化作], 만물흔도[萬物欣覩]


만물필동필이 차지위대동이[萬物畢同畢異 此之謂大同異]  만물이 물이라는 점에서는 다 같고, 개별로서는 다 다른 것을 일러 크게 다르다[大同異]고 함. 장자(莊子) 천하(天下)에서, 혜시(惠施)가 “크게는 같으면서 작게는 다른 것을 조금 다르다[小同異]고 하고, 만물이 물(物)이라는 점에서는 다 같고, 개별로서는 다 다른 것을 일러 크게 다르다[大同異]고 한다.[大同而與小同異, 此之謂小同異 ; 萬物畢同畢異, 此之謂大同異.]”라고 한 데서 보인다.

만물필라 막족이귀[萬物畢羅 莫足以歸]  만물이 모두 여기에 망라되어 있기는 하나 족히 여기에 귀숙(歸宿)할 줄을 알지 못함. 나(羅)는 ‘망라(網羅)한다’는 뜻이고, 막족이귀(莫足以歸)는 아무도 돌아가 쉴 줄 알지 못한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천하(天下)에서 보인다.

만물함도[萬物咸覩]  만물 모두 우러러 봄. 만물함도(萬物咸覩)는 주역(周易) 건괘(乾卦) 문언(文言)에 “구오(九五)에 말하기를, ‘나는 용(龍)이 하늘에 있으니, 대인(大人)을 만나봄이 이롭다.’는 것은 무슨 말인가? 공자가 말했다. ‘같은 소리는 서로 응하고 같은 기운은 서로 구하여, 물은 습한 곳으로 흐르고 불은 건조한 곳으로 나아가며,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범을 따른다. 그리하여 성인이 나옴에 만인이 우러러본다. 하늘에 근본한 것은 위를 친히 하고 땅에 근본한 것은 아래를 친히 하니, 각기 그 유(類)를 따르는 것이다.[九五曰 飛龍在天利見大人 何謂也 子曰 同聲相應 同氣相求 水流濕 火就燥 雲從龍 風從虎 聖人作而萬物覩 本乎天者親上 本乎地者親下 則各從其類也]”라고 하였다.

만물화작[萬物化作]  만물이 변화 발생함. 만물이 생성변화(生成變化)한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천도(天道)에 “만물이 변화 발생함에 싹이 트고 순이 나는 모양은 여러 가지가 있으니 피었다가 시드는 차례가 있는 것은 변화의 흐름이다.[萬物化作, 萌區有狀. 盛衰之殺, 變化之流也.]”라고 한 데서 보인다.

만물흔도[萬物欣覩]  주역(周易) 건괘(乾卦) 문언(文言)에 “구름은 용을 따르고 바람은 범을 따르는지라, 성인이 나오매 만인이 우러러본다.[雲從龍, 風從虎, 聖人作而萬物覩.]”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만미[蠻羋]  숙웅(叔熊)이 오랑캐 지역인 복(濮) 땅으로 도망쳐 가 오랑캐로 변화하여 산 것을 이른다. <國語 鄭語 史伯爲桓公論興衰>

만민소망[萬民所望]  옛날 밝은 임금의 시대처럼 충성스럽고 신의 있는 사회가 도래하기를 백성들 모두가 바라고 있다는 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도인사(都人士)에 “저 훌륭한 서울 분들, 여우 갖옷이 아름답기도 해라. 그 얼굴도 변함없고, 말씀 또한 고우시니, 주나라에 돌아가거든, 만민이 뵙기 바란 바이라오.[彼都人士, 狐裘黃黃. 其容不改, 出言有章. 行歸于周, 萬民所望.]”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이 시는 주(周)나라가 난리로 황폐해진 뒤에 사람들이 그 옛날 아름답던 서울과 예의 바른 어진 이들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탄식하여 부른 노래이다.

만민영[萬民英]  명나라의 학자, 관료. 역경회해(易經會解), 삼명통회(三命通會), 성학대성(星學大成), 음부경(蔭符經), 상자심경(相字心經) 등을 남겼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