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화함은 상서의 기운이 되고
교만함은 쇠락의 기운이 되니
관상쟁이는 어렵지 않게 한눈에 알 수 있고
선량함이 바로 좋은 징조이고
악독함이 바로 나쁜 징조이니
점쟁이가 굳이 오행으로 점칠 것이 있겠는가.
和爲祥氣, 驕爲衰氣, 相人者不難以一望而知.
화위상기, 교위쇠기, 상인자불난이일망이지.
善是吉星, 惡是凶星, 推命者豈必因五行而定.
선시길성, 악시흉성, 추명자기필인오행이정.
<圍爐夜話위로야화>
- 화기[和氣] 인자하고 환한 얼굴빛. 사이좋게 정다운 분위기. 따뜻하고 화창(和暢)한 날씨. 온화(溫和)한 기색(氣色). 화목(和睦)한 분위기(雰圍氣). 생기 있는 기색. 온화하다. 부드럽다. 상냥하다. 한서(漢書) 권36 초원왕유교전(楚元王劉交傳)에 “화평한 기운[和氣]은 상서로움을 부르고 어긋난 기운[乖氣]은 재이를 부르니, 상서로움이 많으면 그 나라가 안정되고 재이가 많으면 그 나라가 위태로우니, 이는 천지에 변하지 않는 법칙이고 고금에 두루 적용되는 이치이다.[和氣致祥 乖氣致異 祥多者其國安 異衆者其國危 天地之常經 古今之通義也]”라고 하였다. 또, 중용장구(中庸章句) 제1장에 “기뻐하고 노하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정이 발하지 않은 것을 중이라 이르고, 발하여 모두 절도에 맞는 것을 화라 이른다. 중이란 것은 천하의 큰 근본이요, 화란 것은 천하의 공통된 도이다.[喜怒哀樂之未發謂之中, 發而皆中節謂之和, 中也者. 天下之大本也; 和也者, 天下之達道也.]”라고 하였는데, 주희의 주에 “이는 성정의 덕을 말씀하여 도를 떠날 수 없는 뜻을 밝힌 것이다.[此言性情之德, 以明道不可離之意.]”라고 하였다.
- 화기치상[和氣致祥] 음(陰)과 양(陽)이 서로 화합(和合)하면 그 기운(氣運)이 서로 어우러져 상서(祥瑞)를 나타낸다는 말이다. 후한서(後漢書) 양진열전(楊震列傳)에 “온화한 기운은 상서로움을 불러오고, 어그러진 기운은 재앙을 불러온다.[和氣致祥, 乖氣致災.]라고 하였고, 한서(漢書) 권36 유향전(劉向傳)에 나오는 유향(劉向)의 조재이봉사(條災異封事)에 “조화로운 기운은 상서를 가져오고 사악한 기운은 재이를 가져오니, 상서가 많으면 나라가 안정되고 재이가 많으면 나라가 위태로운 것은 천지의 일정한 법칙이요 고금에 통하는 원리이다.[和氣致祥 乖氣致異 祥多者其國安 異衆者其國危 天地之常經 古今之通義也]”라고 하였고, 초원왕전(楚元王傳)에 “화평한 기운은 상서로움을 부르고 어긋난 기운은 재이를 부르니, 상서로움이 많으면 그 나라가 안정되고 재이가 많으면 그 나라가 위태로우니, 이는 천지에 변하지 않는 법칙이고 고금에 두루 적용되는 이치이다.[和氣致祥 乖氣致異 祥多者其國安 異衆者其國危 天地之常經 古今之通義也]”라고 하였다.
- 교오[驕傲] 교만하고 건방짐. 젠체하여 남을 업신여길 만큼 건방짐. 칠죄종(七罪宗)의 한 가지. 참고로,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자기의 아름다움을 믿고는 교만한 나머지, 날마다 편히 놀며 분에 넘치게 즐기니, 실로 아름답기는 하나 예의가 없기에, 그를 버리고 떠나 다시 찾기로 했다네.[保厥美以驕傲兮 日康娛以淫遊 雖信美而無禮兮 來違棄而改求]”라는 말이 나온다.
- 상기[祥氣] 경사(慶事)스러운 전조(前兆)의 기운(氣運). 앞으로의 좋은 조짐을 보이는 기운.
- 상서[祥瑞] 복(福)되고 길(吉)한 일이 일어날 조짐(兆朕).
- 쇠기[衰氣] 쇠퇴의 기운. 기운이 쇠약해지는 상태.
- 상인[相人] 관상. 관상을 보는 사람. 사람의 관상을 보다.
- 상인자[相人者] 상인(相人). 관상가(觀相家). 관상쟁이. 사람의 얼굴 형상을 보고 그 사람의 운명을 판단하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 참고로,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문왕(文王) 원년의 전(傳)에 “공손오가, 숙복(叔服)이 사람의 상을 잘 본다는 말을 듣고서 자기의 두 아들을 그에게 보이니, 숙복이 ‘곡은 그대를 먹일 것이고 난은 그대를 거둘 것이다.’라고 하였다.[公孫敖聞其能相人也, 見其二子焉. 叔服曰: 榖也食子, 難也收子.]”라고 한 기사가 있다.
- 일망[一望] 한눈에 바라봄. 한눈에 바라보거나 한 번 바라보다. 한 보름 동안. 수망(首望). 참고로, 당나라 백거이(白居易)의 시 기제양만주사망루(寄題楊萬州四望樓)에 “강가의 새 누각 이름이 사망루이니, 동서남북에 물결이 아득하여라. 그대와 손잡고 올라서, 함께 난간에 기대 고향을 바라볼 길이 없어라.[江上新樓名四望, 東西南北水茫茫. 無由得與君攜手, 同凭欄干一望鄕.]”라고 한 데서 보인다.
- 길성[吉星] 길하고 상서(祥瑞)로운 별. 이 별이 비치는 곳은 좋은 일이 있다 함. 행운을 가져다주는 사람이나 사물. 운명적으로 좋은 작용을 하는 성신(聖神)의 총칭. 복(福), 록(祿), 수(壽)를 상징하는 별을 말한다. 일명 삼성(三星)이라고도 하는데 곧 심성(心星)이다.
- 흉성[凶星] 불길한 징조가 있는 별. 언짢은 징조(徵兆)가 있는 별.
- 추명[推命] 점. 점을 보다. 사주팔자(四柱八字)를 따져 인간의 운명을 헤아리는 일. 사주(四柱)를 가지고 사람의 운명을 추정하는 것.
- 추명자[推命者] 추명인(推命人). 점쟁이. 사주를 분석·종합하여 길흉화복을 추리하는 사람.
- 오행[五行] 보살이 수행하는 다섯 가지의 행법(行法).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지관(止觀)의 다섯 가지 수행(修行). 보살(菩薩)이 자기(自己)의 해탈(解脫)과 남의 교화(敎化)를 위(爲)하여 닦는 다섯 가지 수행. 성행(聖行), 범행(梵行), 천행(天行), 영아행(嬰兒行), 병행(病行) 등이다.
- 오행[五行] 방진(方陣), 원진(圓陣), 곡진(曲陣), 직진(直陣), 예진(銳陣)의 다섯 가지 진법(陣法). 오행진(五行陳).
- 오행[五行]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元素)인 수(水)·화(火)·목(木)·금(金)·토(土). 또는 이와 관련이 있는 육십갑자(六十甲子) 등을 가리킨다. 우주간(宇宙間)에 쉬지 않고 순환하여 운행(運行)하는 다섯 가지의 원기(元氣). 즉, 금(金), 목(木), 수(水), 화(火), 토(土)의 다섯 단계를 이른다. 오행의 운행방식은 서로 선행하는 것을 극복하여 이기는 식이다. 상생상극(相生相剋) 즉, 오행상생(五行相生)과 오행상극(五行相克)에 의하여 만물이 소장(消長)하며 생존한다고 한다. 참고로,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오행은 첫 번째는 수(水), 두 번째는 화(火), 세 번째는 목(木), 네 번째는 금(金), 다섯 번째는 토(土)이다. 수의 성질은 아래로 내려가 만물을 적셔주며, 화의 성질은 위로 타오르며, 목의 성질은 굽고 곧으며, 금의 성질은 사람의 뜻에 따라 형태가 바뀌며, 토의 덕은 이에 작물을 심고 거둔다.[五行: 一曰水, 二曰火, 三曰木, 四曰金, 五曰土. 水曰潤下, 火曰炎上, 木曰曲直, 金曰從革, 土爰稼穡.]”라는 내용이 보이고,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에 “황제여! 생각하소서. 덕은 정사를 선(善)하게 하고, 정사는 백성을 기름에 있으니, 수(水)·화(火)·금(金)·목(木)·토(土)와 곡(穀)을 잘 닦으소서.[帝! 念哉. 德惟善政, 政在養民, 水火金木土穀. 惟修.]”라고 보인다.
【譯文】 和氣致祥驕者必衰, 從善者昌爲惡者棄.
平和就是一種祥瑞之氣, 驕傲就是一種衰敗之氣, 看相的人一眼就能看出來, 並不困難. 善良就是吉星, 惡毒就是凶星, 算命的人哪裡必需要按照五行才能論斷吉凶呢?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