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사람의 도리를 다하면 자연히 하늘도 돌릴 수 있으니 <채근담/소창유기>


집요한 자는 복이 적지만

원만한 사람은 그 복록이 반드시 두텁고

각박한 자는 일찍 죽지만

너그러운 사람은 그 수명이 반드시 길다.

그러므로 군자는 명에 대하여 말하지 않으니

천성을 잘 기르는 것이 바로

명을 세우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하늘에 대하여 말하지 않으니

사람의 도리를 다하면

자연히 하늘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執拗者福輕,  而圓融之人其祿必厚.
집요자복경,  이원융지인기녹필후.
操切者壽夭,  而寬厚之士其年必長.
조절자수요,  이관후지사기년필장.
故君子不言命,  養性卽所以立命.  亦不言天,  盡人自可以回天.
고군자불언명,  양성즉소이입명.  역불언천,  진인자가이회천.

<菜根譚채근담/淸刻本청각본(乾隆本건륭본)/修身수신>
<醉古堂劍掃취고당검소/小窓幽記소창유기 : 峭초>


  • 집요[執拗]  고집스럽게 끈질김. 자기의 의견을 우겨댐. 성가시게 따라붙어 떨어지지 않음. 집념이 강하고 옹고집인 것. 집요하다, 고집스럽다.
  • 원융[圓融]  원만(圓滿)하여 막히는 데가 없음. 원만하고 융통성(融通性)이 있음. 한 데 통하여 아무 구별 없음. 일체의 여러 법(法)의 사리(事理)가 구별 없이 널리 융통(融通)하여 하나가 됨. 원만과 융화의 뜻으로, 사물(事物)과 이치에 대하여 차별상(差別相)을 인정하지 않고 평등상(平等相)을 주장하여 일체가 걸림이 없음[無礙]을 말한다. 원만하여 막힘이 없다. 모든 법의 이치가 완전히 하나가 되어 융합하여 구별이 없다.
  • 조절[操切]  단단히 잡아서 단속함. 다잡아 단속함. 단단히 억누름. 각박하게 단속함. 꽉 잡아 꼼짝도 못하게 함. 법령을 엄하게 지켜 백성을 억누름. 참작하지 않고 매우 엄격하게 함. 윽박지르다. 틀어잡다. 농간을 부리다. 일을 하는데 너무 조급하다. 지나치게 서두르다. 조급히 서두르다. 성급히 처리하다.
  • 수요[壽夭]  장수(長壽)와 요절(夭折). 장수와 단명. 오래 사는 것과 일찍 죽는 것. 참고로,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에 “정(鄭)나라에 신무(神巫)가 있는데 계함(季咸)이라 한다. 사람의 사생존망과 화복수요를 알아서 세월의 순일(旬日)을 기약함이 마치 신과 같았다.[鄭有神巫曰季咸, 知人之死生存亡禍福壽夭, 期以歲月旬日, 若神.]”라고 한 데서 보이고, 열자(列子) 역명(力命)에 “천명을 믿는 자는 장수와 요절이 없고, 이치를 믿는 자는 시비가 없다.[信命者, 亡壽夭 ; 信理者, 亡是非.]”라고 한 데서 보인다.
  • 관후[寬厚]  너그럽고 후덕하다. 넓고 두텁다. 너그럽고 후하다. 관대하고 돈후하다.
  • 양성[養性]  천성(天性)을 기름. 자기의 천성을 길러 자라게 함. 자기의 타고난 성질이나 바탕을 길러 자라게 함. 타고난 선한 본성을 함양하는 것. 양성(養性)은 성명(性命)을 기르는 것으로 양생(養生)이란 말과 같다. 참고로,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그 마음을 보존하여 그 본성을 함양하는 것은 하늘을 섬기는 것이다.[存其心, 養其性, 所以事天也.]”라고 하였다.
  • 입명[立命]  천명(天命)을 좇아 마음을 안정(安定)하게 함. 천명에 따라 마음의 안정을 얻음. 천명을 완수하는 것. 명예를 세우다. 평판을 좋게 하다.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마음을 보존하여 성을 함양함은 하늘을 섬기는 것이요. 요절과 장수함에 의심하지 않아, 몸을 닦고 천명을 기다림은 명을 세우는 것이다.[存其心, 養其性, 所以事天也 ; 殀壽不貳, 修身以俟之, 所以立命也.]”라는 말과 “자신이 할 도리를 옳게 다하고 죽는 것이 바로 명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盡其道而死者, 正命也.]”라는 말이 나온다.
  • 회천[回天]  나라의 형세나 국면을 크게 바꿈. 어지러운 시국을 만회시킴. 형세(形勢)나 국면(局面)을 크게 바꾸어 쇠퇴한 세력을 회복함. 도저히 돌이킬 수 없을 것 같아 보이는 형세를 만회함. 하늘을 돌린다는 뜻으로, 천자(天子)나 제왕(帝王)의 마음을 돌이키게 함을 이르는 말. 간언을 통해 황제(皇帝)의 마음을 되돌리는 것. 임금의 마음을 돌이키게 함. 회천(回天)은 만회하기 어려운 사세(事勢)를 돌려놓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참고로, 신당서(新唐書) 권102 장현소열전(張玄素列傳)에, 당 태종(唐太宗)이 낙양(洛陽)의 궁전을 수축하려고 할 때, 급사중(給事中) 장현소(張玄素)가 직간을 하여 중지시키자, 위징(魏徵)이 감탄하면서 “장공이 마침내 하늘을 되돌리는 힘을 발휘했다.[張公遂有回天之力]”고 말한 고사에서 보인다.

【譯文】 固執的人不善養心性,  福分淺短  ;  而圓融的人善養心性,  所以他們福分厚.  做事急躁的人壽命短,  寬厚的人命必長.  所以君子不談命運,  修身養性就是鍛造命運  ;  也不說天意如何,  盡力而爲可以改變天意.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
error: <b>불펌 금지!</b>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