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고 나쁨에 대한 감정이 너무 분명하면
사물과 어우러지지 못하고
어질고 어리석음에 대한 감정이 너무 분명하면
다른 사람들과 가까워질 수 없다.
지식인이라면 모름지기
안으로는 정밀하고 분명하되
밖으로는 순박하고 온후해야 하니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둘 다 공평함을 얻고
어질거나 어리석거나 함께 이익 누리게 해야
이야말로 만물을 생성하는 덕량이 되는 것이다.
好醜心太明, 則物不契. 賢愚心太明, 則人不親.
호추심태명, 즉물불계. 현우심태명, 즉인불친.
士君子須是內精明而外渾厚,
사군자수시내정명이외혼후,
使好醜兩得其平, 賢愚共受其益, 才是生成的德量.
사호추양득기평, 현우공수기익, 재시생성적덕량.
<菜根譚채근담/淸刻本청각본(乾隆本건륭본)/應酬응수>
<醉古堂劍掃취고당검소/小窓幽記소창유기 : 醒성>
※ 취고당검소와 소창유기에는 ‘須是內精明, 而外渾厚,’가 ‘士君子須是內精明而外渾厚,’라고 되어 있다.
- 호추[好醜] 좋고 나쁨. 좌우간. 어쨌든. 하여간. 참고로, 동관한기(東觀漢記) 광무제기(光武帝紀)에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가 “사람들과 얘기할 때에는 허심탄회하게 속마음을 토로하면서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숨기는 것이 없었다.[開心見誠 與人語 好醜無所隱諱]”라고 한 데서 보인다.
- 계심[契心] 진리에 계합된 마음. 진리와 하나가 된 본래마음.
- 계합[契合] 꼭 들어맞음. 뜻이 서로 맞음. 부신(符信)이 꼭 들어맞듯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음. 사물이나 일이 조금도 틀림없이 서로 꼭 들어맞음. 자기가 뜻하는 바와 합치하거나 상통하게 됨. 명군(明君)과 현신(賢臣)이 서로 의기가 잘 들어맞는 것. 군신 간에 의기가 투합하여 사이가 친밀함. 임금과 신하가 서로 화합하는 것. 의기가 투합하다. 친밀하게 되다. 부합하다. 일치하다.
- 사물[事物] 모든 일과 물건의 총칭. 일과 물건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건(事件)과 목적물(目的物). 물질세계에 존재하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대상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현우[賢愚] 어짊과 어리석음. 어진 이와 어리석은 이. 현명함과 어리석음. 현명(賢明)한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참고로, 진서(晉書) 공탄전(孔坦傳)에 “난초와 쑥이 같이 타니 어진 이와 어리석은 이가 모두 탄식한다.[蘭艾同焚 賢愚所歎]”라고 하였고, 근사록(近思錄) 권14에 “선생의 말씀은 평이하여 알기가 쉬어서 현명한 자와 어리석은 자가 모두 유익함을 얻었으니, 여럿이 하수에서 물을 마심에 각각 그 양을 채우는 것과 같다.[先生之言, 平易易知, 賢愚皆獲其益, 如群飮於河, 各充其量.]”라고 한 데서 보인다.
- 수시[須是] 모름지기. 반드시. 반드시 ~해야 한다. 꼭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마 ~일 것이다. 대개 ~일 것이다. 是는 須에 붙는 조사. 따라서 須是는 부사로 ‘모름지기’라는 뜻이다.
- 정명[精明] 아주 깨끗하고 밝음. 밝다. 영리하다. 총명하고 재치가 있다. 세밀하게 알다. 자세히 관찰하다. 순결하고 총명하다. 머리가 잘 돌다. 총명하고 눈치가 빠르다. 일에 세심하고 똑똑하다. 정통하다. 교활하다. 참되어 거짓이 없는 마음을 말한다. 눈의 정기(精氣). 오장육부(五臟六腑)의 정기(精氣)가 눈으로 올라와 겉으로 표현(表現)되는 것. 참고로, 예기(禮記) 제통(祭統)에 “군자가 재계하는 것은 오로지 그 순수하고 밝고 맑은 덕을 다하기 위함이다. …… 재계란 순수하고 청명함의 지극함이다. 그렇게 한 연후에 신명을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君子之齊也, 專致其精明之德也. …… 齊者, 精明之至也, 然後可以交於神明也.]”라고 하였다.
- 혼후[渾厚] 화기(和氣) 있고 인정(人情)이 두터움. 사람됨이 크고 원만함. 화기와 인정이 충만한 것. 순박하고 성실하다. 순박하고 온후하다. 순박하고 너그럽다. 어수룩하고 너그럽다. 소박하고 무게 있다. 소리가 낮고 힘이 있다. 우렁차다. 시문이나 서화의 풍격이 소박하고 무게 있다. 웅혼(雄渾)하다. 한시(漢詩)의 품격(品格)의 하나. 시정(詩情)과 시의(詩意)가 깊고 원대한 것을 말하며 깊은 덕과 중후한 인격을 갖춘 시인에게서 엿볼 수 있는 시의 품격이다.
- 생성[生成] 낳아서 길러줌. 사물(事物)이 생겨남. 사물이 생겨 이루어지게 함. 자라남. 하늘과 땅이 만물을 낳아서 이루어 주는 은혜. 이전에 없었던 어떤 사물이나 성질의 새로운 출현. 하늘은 만물을 낳아 주고[生], 땅은 만물을 이루어 준다[成]하는 것이다.
- 생성[生成] 생수(生數)와 성수(成數)를 말한다. 생수는 오행상생(五行相生)의 수를 이르는 말이다. 성수는 우수리가 없는 일정 단위의 수를 말한다.
- 덕량[德量] 인격과 도량. 너그럽고 어진 마음씨와 생각. 어질고 너그러운 마음씨. 덕스러운 도량(度量).
【譯文】 精明渾厚, 物契人親.
美好醜陋的心過於分明, 事物就不會契心 ; 賢智愚拙的心過於分明, 他人就不會親近, 讀書人必須是內心精細明察而外表渾樸敦厚, 使美好醜陋兩者得到平衡, 賢智愚拙共同享受利益, 才是生存成就萬物的道德氣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