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지난 잘못을 반성하고, 남의 선을 본받으면 [謙虛美德] <圍爐夜話위로야화>


지난날 행실이 잘못 되었음을 알면

배움이 날로 진보할 것이요

세상에 본받을 사람이 많음을 알면

덕성이 날로 진보할 것이다.


能知往日所行之非,  則學日進矣.
능지왕일소행지비,  즉학일진의.
見世人之可取者多,  則德日進矣.
견세인지가취자다,  즉덕일진의.

<圍爐夜話위로야화>


  • 소행[所行]  이미 하여놓은 일이나 짓. 하고 있거나 해 놓은 일. 이미 저질러 놓은 일이나 짓. 하고자 하는 것. 소위(所爲).
  • 행실[行實]  실지로 드러나는 행동. 행동(行動)에 드러나는 품행(品行). 일상생활에서 실지로 드러나는 행동이나 몸가짐.
  • 일진[日進]  날로 진보(進步)함. 날이 갈수록 나아짐. 참고로,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군자는 글로써 벗을 모으고, 벗으로써 인을 돕는다.[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라고 하였는데, 그 집주(集注)에 “학문을 강(講)함으로써 벗을 모으면 도가 더욱 밝아지고, 선을 취함으로써 인(仁)을 도우면 덕이 날로 발전한다.[講學以會友, 則道益明. 取善以輔仁, 則德日進.]”라고 하였고,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권2 위학(爲學)에 “군자(君子)의 학문(學問)은 마땅히 날로 진전하고 그치지 않아야 하니, 한 번이라도 혹 스스로 멈추면 지혜가 날로 어두워지고 행실이 날로 이지러진다.[君子之學, 當日進而不已, 一或自止, 則智日昏而行日虧矣.]”라고 하였다.
  • 진보[進步]  정도나 수준이 차츰 향상하여 감. 정도나 수준이 나아지거나 높아짐. 더욱 발달함. 차차 더 좋게 되어 나아감. 역사 발전의 합법칙성에 따라 사회의 변화나 발전을 추구함. 참고로, 전등록(傳燈錄)에 “백 척의 장대 끝에서 걸음을 내디뎌야만 시방세계가 곧 전신이다.[百尺竿頭須進步 十方世界是全身]”라고 하였는데, 이 말을 인하여 학업의 진취를 간두진보(竿頭進步)라고 한다.
  • 가취[可取]  취할 만하다. 받아들일 만하다. 배울 만하다. 칭찬할 만하다. 물건(物件)을 살 때 덤으로 받음.
  • 덕성[德性]  어질고 너그러운 품성. 덕의(德義)를 갖춘 본성. 도덕적 의식. 사람의 지성(至誠)한 본성.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바른 이치. 참고로, 중용장구(中庸章句) 제27장에 “군자는 덕성을 존숭하고 학문을 연구한다. 넓고 큰 것을 끝까지 추구하면서도 정밀하고 은미한 것을 완전히 파악하고, 높고 밝은 최고의 경지를 이루면서도 중용의 길을 걷는다. 옛것을 익히면서 새것을 알고, 돈후한 자세를 견지하며 예를 숭상한다.[君子尊德性而道問學 致廣大而盡精微 極高明而道中庸 溫故而知新 敦厚以崇禮]”라고 하였다.

【譯文】 學日進德日進 / 謙虛美德矣.
知道自己過去有做得不對的地方,  那麼學問就能日漸充實.  看到他人可學習的地方很多,  自己的道德也必定能逐日增進.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
error: <b>불펌 금지!</b>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