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가남풍[賈南風]~가낭선[賈浪仙]~가노재피[可怒在彼]~가농성진[假弄成眞]


가남풍[賈南風]  진(晉)나라 평양(平陽) 양릉(襄陵) 사람. 혜제(惠帝)의 황후로, 가규(賈逵)의 손녀고 가충(賈充)의 딸이다. 혜제가 즉위하자 황후가 되었다. 태후(太后)의 아버지 양준(楊駿)이 정치를 보좌했다. 영평(永平) 원년 초왕(楚王) 사마위(司馬瑋)를 시켜 양준을 살해하고 여남왕(汝南王) 사마량(司馬亮)으로 태재(太宰)를 삼았다. 조서(詔書)를 고쳐 사마위로 하여금 사마량을 죽이게 하고, 얼마 뒤 사마위도 살해했다. 황음방자(荒淫放恣)했고, 투기가 심한데다 음탕했다고 한다. 10년 동안 권력을 휘둘렀는데, 민회태자(愍懷太子) 사마휼(司馬遹)을 죽여 민심이 등을 돌리게 되었다. 조왕(趙王) 사마륜(司馬倫)에게 살해당했다.

가납[嘉納]  남의 말을 쾌히 받아들임을 말한다.

가납[加納]  조세나 공물(貢物), 환곡(還穀) 등을 정해진 수량보다 더 바치는 것을 말한다.

가낭선[賈浪仙]  당대(唐代)의 시인 가도(賈島)를 가리키는데 낭선(浪仙)은 그의 자이다. 처음에 중이 되어 호를 무본(無本)이라고 하였다. 뒤에 환속해서 진사가 되어 장강주부(長江主簿)를 지내기도 하였지만 일생을 가난하게 살았다. 퇴고(推敲)라는 말의 유래가 된 유명한 일화의 주인공이기도 한데 맹교(孟郊)와 더불어 교한도수(郊寒島瘦)라 일컬어진다.

가낭중[賈郞中]  이름은 유약(維鑰)이고, 자는 무경(無扃), 호는 지백(知白)이며, 명나라 직례성(直隷省) 순천부(順天府) 준화현(遵化縣) 사람이다. 흠차사험군공 병부무선청 이사주사(欽差査驗軍功兵部武選淸吏司主事)로 1593년(선조26) 3월에 우리나라에 와 의주(義州)에서 군공을 조사하고 안주(安州)에서 군대를 위로한 뒤 바로 돌아갔다. 1599년 4월에 원임 낭중(原任郞中)으로 경리(經理) 만세덕(萬世德)을 보좌하여 재차 왔다가 1600년 7월에 돌아갔다.

가녀[歌女]  가녀는 지렁이의 별칭이다. 고금주(古今注) 어충(魚蟲)에 “지렁이는 땅속에서 울음을 길게 잘 울므로, 강동(江東)에서는 가녀(歌女)라고 한다.”고 하였다.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지렁이는 위로 마른 흙덩이를 먹고 아래로 황천을 마신다.[夫蚓 上食槁壤 下飮黃泉]”라고 하였다.

가노재피[可怒在彼]  노여워할 만한 행위가 상대에게 있음.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노 애공(魯哀公)이 “제자 가운데 누가 학문을 좋아합니까?[弟子, 孰爲好學?]”라고 묻자, 공자가 “안연(顔淵)이 학문을 좋아하여 노여움을 남에게 옮기지 않고 같은 잘못을 두 번 다시 하지 않았습니다.[有顔回者, 好學, 不遷怒, 不貳過.]”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대한 정자(程子)의 주에 “예컨대, 순(舜)임금이 사흉(四凶)을 처벌할 때에 노여워할 만한 행위가 저들에게 있었으니, 자신에게 무슨 관련이 있겠는가.[若舜之誅四凶也, 可怒在彼, 己何與焉?]”라고 하였다. <論語 雍也>

가노재피이기무여언[可怒在彼而己無與焉]  노여워할 만한 사유가 저들에게 있고 자신은 관여함이 없는 것. 노(怒)할 수 있는 요소가 저쪽에 있다는 뜻으로, 성냄을 옮기지 않음을 말한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의 안회(顔回) 불천노(不遷怒)의 주석에서 정자(程子)가 “가령 순제(舜帝)가 사흉(四凶)을 처형할 때 노여워할 만한 사유가 저들에게 있고 자신은 관여함이 있겠는가.[可怒在彼, 己何與焉?]”라고 하였다.

가녹명이래[歌鹿鳴而來]  당(唐)나라의 공사(貢士) 제도를 보면, 11월에 각 군현(郡縣)에서 과거 시험을 보이고 나서, 여기에 급제한 사람에게 향음주례(鄕飮酒禮)를 베풀어 주며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녹명(鹿鳴)을 노래하게 하는 관례가 있었는데, 한유(韓愈)의 송양소윤서(送楊少尹序)에 “양후(楊侯)가 이제 막 관례(冠禮)를 마치고는 향리에서 과거에 급제한 뒤에 녹명을 부르면서 왔다.[擧於其鄕 歌鹿鳴而來]”는 대목이 나온다.

가농성진[假弄成眞]  가롱성진. 처음에는 장난삼아 한 일이 나중에 정말이 됨을 이른다. 농가성진(弄假成眞). 가롱성진.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