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찰[覺察] 깨달아 살피다.
각첩[閣帖] 태종이 한림시서(翰林侍書) 왕저(王著)에게 명하여, 어부(御府)에 소장된 역대 명가(名家)의 필적을 모아 만든 순화각법첩(淳化閣法帖)을 말한다. 순화각은 송나라 태종 연간에 궁중에 세운 건물 이름이다. 전하여 필적이 아주 훌륭하다는 의미이다.
각촉[刻燭] 초에 눈금을 긋고 촛불이 그 눈금까지 타는 동안에 시(詩)를 짓는 ‘각촉부시(刻燭賦詩)’에서 온 말이다. 남제(南齊)의 경릉왕(竟陵王) 소자량(蕭子良)이 어느 날 밤에 학사(學士)들을 모아 놓고 초에다 금을 그은 다음, 초가 그 금까지 타들어 가기 전에 사운시(四韻詩)를 짓게 하였는데, 소문염(蕭文琰)이 “그게 어려울 것이 뭐가 있겠는가.”라 하고는, 사람을 시켜 동발(銅鉢)을 침과 동시에 운을 부르게 하고 그 동발의 음향이 사라지기 전에 시를 지었던 고사가 있다. <南史 卷59 王僧孺列傳>
각촉[刻燭] 초에 도수(度數)를 새겨서 시간을 재는 것을 말한다. 시 짓기의 민첩함을 말한다. <남사(南史)> 권59 왕승유열전(王僧孺列傳)에 “경릉왕(竟陵王) 왕자량(王子良)이 일찍이 밤에 학사(學士)들을 소집하여 각촉으로 시를 짓게 했다. 사운(四韻)일 경우는 일촌(一寸)을 새겼는데, 이것으로 비율을 삼게 했다.”라고 했다.
각촉부시[刻燭賦詩] 초에 눈금을 그어 놓고 촛불이 그 눈금까지 타들어 가는 동안에 민첩하게 시를 짓게 하는 시험 방식을 말한다.
각추렴[各出斂] 모임의 비용 따위로 여러 사람에게 각기 돈이나 물품 따위를 내도록 하여 거둠을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