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은류체[感恩流涕] 군주의 은혜에 감격하여 눈물을 흘림을 이른다.
감은사[感恩寺] 현재의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에 있던 절이다. 신라 문무왕(文武王)이 왜병을 진압하기 위해 짓기 시작했는데 완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고 신문왕(神文王)이 682년에 완공하였다. 금당(金堂) 문지방 아래에 동쪽을 향해 구멍 하나를 열어 두었는데 용으로 변화한 문무왕의 출입을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감응암[感應庵] 경북 성주군 월항면 한개 마을 뒤 영취산(靈鷲山)에 있는 감응사(感應寺)를 말한다. 802년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 신라의 애장왕은 늦게 아들을 얻었으나, 왕자는 날 때부터 눈이 나빠 앞을 볼 수가 없었다. 어느 날 밤 꿈에 나타난 승려의 지시로 이곳에 있는 약수를 구해 왕자의 눈을 씻게 하였더니 왕자는 앞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왕은 약수의 은혜를 잊지 못하여 이곳에 절을 짓고 감응사라 하였다고 한다. 이 약수는 절 뒤 절벽의 바위 사이에서 흘러나오는 물로 옥류정(玉流井)이라 하며, 지금도 그 물맛이 달고 차가워 약수로 이름이 높다.
감이수통[感而遂通] 주역(周易)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역은 생각이 없고 하는 것도 없어 적막하게 움직이지 않고 있다가, 느끼게 되면 마침내 천하의 일을 통하나니, 천하의 지극한 신령스러움이 아니면 그 누가 여기에 참예할 수 있겠는가.[易 无思也 无爲也 寂然不動 感而遂通天下之故 非天下之至神 其孰能與於此]”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이는 곧 사람 마음의 신묘함을 말한 것이다.
감이후응 박이후동[感而後應 迫而後動] 외물(外物)에 감촉(感觸)된 뒤에 비로소 호응하며 외물(外物)이 급박하게 다가온 뒤에 비로소 움직임. 관자(管子) 심술 상(心術 上)편에 “감촉된 뒤에 호응하고……사물이 이른 뒤에 호응한다[感而後應……物至則應].”고 한 내용이 보이고, 회남자(淮南子) 원도훈(原道訓)편에도 “감촉된 뒤에 호응하고……사물이 이른 뒤에 정신이 호응한다[感而後動……物至而神應].”고 한 내용이 있고, 또 “급박하게 다가오면 호응하고 감촉되면 움직일 수 있다[迫則能應 感則能動].”고 한 부분이 있고, 정신훈(精神訓)편에도 “감촉되면 호응하고 급박하게 다가오면 움직이고 부득이한 뒤에 나아간다[感而應 迫而動 不得已而往].”고 한 내용이 보인다. 박(迫)은 급박하게 다가온다는 뜻이고. 동(動)은 호응한다는 뜻이다.
감인[甘人] 사람을 맛있게 먹음을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