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번[擧幡] 깃발을 든다는 뜻으로, 한(漢)나라 애제(哀帝) 때에 강직하기로 유명했던 사례(司隷) 포선(鮑宣)이 죄를 받고 정위(廷尉)의 감옥에 갇히자, 박사제자(博士弟子) 왕함(王咸)이 태학 아래서 깃발을 들고 “포사례(鮑司隷)를 구하려는 자는 이 밑에 모이라.”라고 외치니, 태학생 1천여 명이 모여서 대궐 문을 지키고 상소하여 포선의 죄를 경감시켰던 일에서 유래하였다. <漢書 卷72 鮑宣傳> <高士傳>
거번[擧幡] 전한(前漢) 때 사례(司隷) 포선(鮑宣)이 부당하게 하옥(下獄)되자 박사제자(博士弟子)인 왕함(王咸)이 번(幡)이라는 깃발을 들고 태학(太學) 아래에 서서 “포 사례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여기 모이시오.” 하니, 태학의 제생(諸生) 천여 명이 모여 승상 공광(孔光)의 수레를 막아 입궐(入闕)하지 못하게 하고 궐문(闕門)에 모여 상소하였다. 이에 포선의 죄가 감사일등(減死一等)으로 낮추어졌다. <漢書 卷72 鮑宣傳>
거번왕함[擧幡王咸] 한 애제(漢哀帝) 때, 강직한 사례(司隷) 포선(鮑宣)이 죄를 입어 옥에 갇히자, 박사제자(博士弟子)인 왕함(王咸)이 태학 아래에서 깃대를 들고 외치기를 “포사례(鮑司隷)를 구하려는 자는 이 밑에 모이라.” 하자, 제생 1천여 명이 모여서 대궐 문을 지키고 상소하여 포선의 죄를 경감시켰던 일을 가리킨다. <漢書 卷72 鮑宣傳>
거벽[巨擘] 학식이나 어떤 전문적인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 조선 시대에, 과거 시험의 답안지 내용을 전문적으로 대신 지어 주던 사람.
거벽중자[巨擘仲子] 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진중자(陳仲子)를 말하는데, 오릉(於陵)에 살았기 때문에 오릉중자(於陵仲子)라고도 한다. 그의 지나칠 정도의 결벽성에 대해서는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자세한 설명이 나오는데, 그 서두에 “제나라 인사 중에서는 내가 반드시 중자를 엄지손가락으로 꼽는 바이다.[於齊國之士 吾必以仲子爲巨擘焉]”라는 맹자의 말이 나온다.
거병거식[去兵去食]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정사(政事)의 요체를 묻자, 공자가 풍족한 양식과 군대의 양성과 백성의 믿음 세 가지를 들었는데, 부득이하여 하나씩 버려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묻자, 우선 군대를 버리고[去兵] 그다음에는 양식을 버리되[去食] 백성의 믿음만큼은 버릴 수 없다[去食去兵 民無信不立.고 대답하였다. <論語 顔淵>
거복기장[車服旗章] 거복(車服)은 수레와 장복(章服 관복). 기장(旗章)은 정기(旌旗)와 휘장(徽章)이다.
거복표지장[車服表之章] 수레와 복장은 귀천(貴賤)에 따라 등급이 있어서 스스로 드러나 구별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