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곤[乾坤] 건곤과 일월은 왕과 왕비를 가리킨다.
건곤간이지리[乾坤簡易之理] 주역(周易) 계사 상(繫辭上)에 “건(乾)은 시작함을 맡고, 곤(坤)은 물건을 이룬다. 건은 쉬움으로써 시작함을 맡고, 곤은 간략함으로써 능하다.[乾知大始 坤作成物 乾以易知 坤以簡能]” 하였다.
건곤감리[乾坤坎离] 보통 도사(道士)들은 건·곤·감·리를 사람의 몸 안에 있는 수화(水火)라 하여, 수련(修煉)의 방법을 말하였다.
건곤교태[乾坤交泰] 주역(周易)의 태괘(泰卦)에서 나온 말인데, 음양이 조화되고 천하가 태평한 기상을 말한 것이다.
건곤귀서약[乾坤歸黍籥] 십이율(十二律)의 하나인 황종(黃鐘)이 만사(萬事)의 근본이 됨을 말한 것이다. 황종의 관(管)은 검은 기장알 1천 2백개가 들어가는데, 이것은 양(量)의 1약(龠)에 해당하는바 지금의 작(勺)이 된다. 황종의 관은 도량형(度量衡)의 기본이므로 천지만물을 측정할 수 있다는 뜻이다.
건곤사덕[乾坤四德] 원(元)·형(亨)·이(利)·정(貞)을 말한다.
건곤삼색[乾坤三索] 팔괘 가운데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를 부모로 하여 나머지 여섯 괘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주역(周易) 설괘전(說卦傳)에 “건(乾)은 하늘이므로 부(父)라 칭하고, 곤(坤)은 땅이므로 모(母)라 칭하고, 진(震)은 첫 번째로 구하여 남(男)을 얻었으므로 장남(長男)이라 이르고, 손(巽)은 첫 번째로 구하여 여(女)를 얻었으므로 장녀(長女)라 이르고, 감(坎)은 두 번째로 구하여 남(男)을 얻었으므로 중남(中男)이라 이르고, 이(離)는 두 번째로 구하여 여(女)를 얻었으므로 중녀(中女)라 이르고, 간(艮)은 세 번째로 구하여 남(男)을 얻었으므로 소남(少男)이라 이르고, 태(兌)는 세 번째로 구하여 여(女)를 얻었으므로 소녀(少女)라 이른다.”라고 하였는데, 주희가 역본의도(易本義圖)에서 “곤이 건에게 구하여 건의 초구(初九)를 얻어 진이 되었으므로 ‘첫 번째로 구하여 남자를 얻었다’라고 말하였으며, 건이 곤에게 구하여 곤의 초육(初六)을 얻어 손이 되었으므로 ‘첫 번째로 구하여 여자를 얻었다’라고 말하였다. 곤이 두 번째 구하여 건의 구이(九二)를 얻어 감이 되었으므로 ‘두 번째로 구하여 남자를 얻었다’라고 말하였으며, 건이 두 번째 구하여 곤의 육이(六二)를 얻어 이가 되었으므로 ‘두 번째로 구하여 여자를 얻었다’라고 말하였다. 곤이 세 번째 구하여 건의 구삼(九三)을 얻어 간이 되었으므로 ‘세 번째로 구하여 남자를 얻었다’라고 말하였으며, 건이 세 번째 구하여 곤의 육삼(六三)을 얻어 태가 되었으므로 ‘세 번째로 구하여 여자를 얻었다’라고 말하였다.”라고 풀이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