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구도[高陽舊徒] 술을 아주 좋아하여 모든 일에 얽매이지 않고 방탕하게 노는 사람을 뜻한다. 사기(史記) 제97권 역생육가열전(酈生陸賈列傳)에 “패공(沛公)이 군사를 이끌고 진류(陳留)를 지날 적에 역생(酈生)이 군문(軍門)에 와서 알현하기를 청하였다. ……사자(使者)가 나와서 말하기를, ‘패공께서 한창 천하를 경략하는 일을 하고 있어서 유인(儒人)을 볼 겨를이 없다고 하십니다.’하니, 역생이 눈을 부릅뜨고 칼을 쓰다듬으면서 사자에게 질타하기를 ‘가라. 다시 들어가서 패공에게 나는 고양의 술꾼이지 유자가 아니라고 하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고양구주도[高陽舊酒徒] 초한(楚漢) 때의 역이기(酈食其)는 처음에 고양 땅의 주도(酒徒)였다. 술을 좋아하고 매인 데 없이 방탕한 사람을 말하기도 한다.
고양도[高陽徒] 고양(高陽)은 하남성(河南省)의 옛고을 이름으로 술을 좋아하고 방탕(放蕩)하여 구속되기를 싫어하는 사람의 지칭인 바, 한(漢)나라의 역이기(酈食其)가 고조(高祖)를 만나려다가 거절당하자 자신은 유생(儒生)이 아니라면서 외친 말이다.
고양도[高陽徒] 고양의 술군[高陽酒徒], 예의범절이나 격식 따위에 구애받지 않는 호방한 인물을 가리킨다. 전한(前漢) 때의 역이기(酈食其)를 가리킨다. 한 고조(漢高祖)가 일찍이 진류(陳留)에 들렀을 때, 역이기가 군문(軍門)에 나와 뵙기를 청하므로, 고조의 사자(使者)가 거절하기를 “패공(沛公)이 선생을 삼가 거절하는 것은 방금 천하의 일을 경영하느라 유인(儒人)을 만날 겨를이 없어서입니다.”라고 하자, 역이기가 사자에게 꾸짖기를 “나는 고양의 술꾼이지, 유학의 글이나 떠받드는 꽉 막힌 사람이 아니다.[吾高陽酒徒 非儒人也]”라고 하고는 끝내 뜻을 관철했던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97 酈生列傳>
고양리[高陽里] 고양리는 후한(後漢) 때 순숙(荀淑)이 살던 마을을 가리킨다. 순숙의 아들 여덟 명이 모두 재주가 뛰어났으므로, 이들을 상고 시대 제왕인 고양씨(高陽氏) 전욱(顓頊)의 재주가 뛰어난 아들 여덟 명에 비겨서 그가 살던 마을 이름이 원래 서호(西豪)였던 것을 바꾸어서 고양리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62 荀淑列傳>
고양리[高陽里] 후한(後漢) 때의 순숙(荀淑)과 그의 여덟 아들이 살던 마을이다. 부자가 모두 뛰어난 재능이 있었으므로 ‘순씨팔룡(荀氏八龍)’이라고 불렸으며, 후세에 남의 자제들이 모두 훌륭함을 칭찬할 때에는 흔히 이들에다 비기곤 하였다.
고양묘예[高陽苗裔] 굴원(屈原)을 가리킨다. 그가 지은 이소(離騷) 첫머리에 “나는 고양 임금님의 후손으로서, 선친의 함자는 백용이셨네.[帝高陽之苗裔兮 朕皇考曰伯庸]”라는 말이 나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