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어지사[枯魚之肆] 곤경에 처한 사람이 급히 구원을 요청하다가 낙담한 나머지 모든 것을 운명에 맡기고 체념하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동해의 파신(波臣)을 자처하는 물고기 한 마리가 수레바퀴에 파인 얕은 물속에서 허우적대면서 한 말이나 한 되의 물이면 살아날 수 있겠다고 하소연을 했는데도, 서강(西江)의 물을 길어다가 구원해 줄 테니 조금만 참으라는 말을 듣고는 “차라리 나를 건어물 가게에서 빨리 찾아보는 것이 나을 것이다.[曾不如早索我于枯魚之肆]”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고어지사[枯魚之肆] 매우 곤궁한 처지를 이른다. 장자(莊子)는 가정 형편이 매우 어려웠다. 하루는 양식이 떨어져 감하후(監河侯)에게 꾸러 갔다. 감하후는 “알았습니다. 그러나 지금 저의 형편 역시 어렵습니다. 조세를 거둬들인 후에 은자 300냥을 빌려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장자는 그의 말에 화를 내며 “내가 어제 길을 가다가 길가의 마른 구덩이 속에 있는 물고기 한 마리를 보았습니다. 그 물고기는 나를 보고는, ‘저는 본래 동해에 살았는데 불행히 회오리바람에 밀려 물이 말라 버린 이 구덩이에 떨어져 죽게 되었습니다. 저에게 물 한 통만 가져다 주어 구해 주십시오’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게 하겠다. 나는 지금 남쪽의 여러 왕을 만나러 가는 길이다. 그곳에는 물이 많으니 물을 가져와 너를 구해주겠다’라고 했습니다. 그러자 물고기는 화를 내며 ‘그것이 가능합니까? 지금 저에게는 물 한 통만 있으면 살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당신이 서강(西江)의 물을 가져올 때까지 기다린다면 저는 이곳에 없고 일찌감치 어물전에나 가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不如早索我 于枯魚之肆]’라고 말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장자(莊子) 외물편(外物篇)> 철부지급(轍鮒之急)·학철부어(涸轍鮒魚).
고어지사[枯魚之肆] 쓸데없는 일이 될 것이라는 뜻이다. 장자(莊子)가 길을 갈 적에 누가 부르는 소리가 있어서 돌아보니 수레바퀴 자국에 고인 물속에서 다 죽어 가는 붕어가 부르는 소리였다. 장자가 붕어를 보고 “너는 무엇을 하고 있는 거냐?” 하니, 붕어가 “저는 동해(東海)의 파신(波神)인데, 당신에게 한 말이나 몇 되의 물이 있으면 저에게 부어 주어 살려 주시기 바랍니다.” 하였다. 이에 장자가 “그러마. 내가 남쪽으로 가서 오(吳)나라와 월(越)나라의 임금을 설득시켜 서강(西江)의 물을 끌어다가 너를 살리도록 하겠다.” 하니, 붕어가 발끈 성을 내면서 “나는 몇 되의 물만 있으면 살아날 수 있습니다. 당신의 말대로 하다가는 차라리 저를 건어물을 파는 상점에 가서 찾는 것이 더 나을 것입니다.” 하였다. <莊子 外物>
고어함삭[枯魚銜索] 설원(說苑) 건본(建本)에 “마른고기를 노끈에 꿰어 두면 얼마 동안이나 좀먹지 않고 성하겠는가? 양친의 수명도 작은 틈을 지나는 것처럼 잠깐이라네.[枯魚銜索 幾何不蠹 二親之壽 忽如過隙]”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고어함색[枯魚銜索] 공자가어(孔子家語) 치사(致思)에 “마른 고기를 매단 새끼줄은 얼마 안 가서 썩는 것이요, 두 어버이의 수명은 흰 말이 언뜻 틈을 지나가는 것과 같다.[枯魚銜索 幾何不蠹 二親之壽 忽若過隙]”라고 한 데서 온 말로, 부모를 봉양할 날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비유한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