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공형문장[公兄文狀]~공혜장[空蕙帳]~공홍곡[孔葒谷]


공형[公兄]  삼공형(三公兄)의 준말. 각 고을의 호장(戶長)·이방(吏房)·수형리(首刑吏)의 세 관속을 말한다.

공형문장[公兄文狀]  지방 관아의 호장(戶長)·이방(吏房)·수형리(首刑吏) 등이 죄인에 대해 꾸민 서류이다.

공형비소우[孔兄非所友]  공형(孔兄)은 돈의 별칭인 공방형(孔方兄)의 약칭인데, 벗 삼을 바 아니라는 것은 곧 집이 가난하여도 전재(錢財)를 탐내지 않음을 의미한다. 황정견(黃庭堅)의 희정공의보(戱呈孔毅父) 시에 “관성자에겐 고기 먹을 상이 없거니와, 공방형에겐 절교서를 지어 보냈다오.[管城子無食肉相 孔方兄有絶交書]”라고 하였다.

공혜왕후[恭惠王后]  조선(朝鮮) 성종(成宗)의 비로, 영의정(領議政) 한명회(韓明澮)의 딸이다.

공혜장[空蕙帳]  공치규(孔雉珪)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산 사람 가고 없으니, 혜초 장막 비었네[山人去兮黃帳空]”라고 하였다.

공호[孔壺]  물방울로 시간을 헤아리는 기구이다. 밑 부분에 작은 구멍이 있으므로 이렇게 일컫는 것이다.

공홍곡[孔葒谷]  청(淸) 순곡(蒓谷) 계함(繼涵)의 아우로 이름은 계순(繼蒓), 자는 신부(信夫), 호는 홍곡(葒谷)이며, 건륭(乾隆) 거인으로 후보증서(候補中書)이며 서(書)에 공(工)하였다. 형부 상서 장조(張照)의 여부(女夫)가 되어 그 필법을 터득하여 소사구(小司寇)라는 지목이 있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