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공화[空華]~공화[共和]~공화급기[恐禍及己]~공화만안[空花滿眼]


공화[空花]  불교용어이다. 병든 눈에 나타나는 번화(繁花) 모양의 허영(虛影)이다. 어지러운 망상과 가상(假相)을 말한다.

공화[空花]  공중의 꽃. 허공에는 본디 꽃이 없으나, 눈병이 있는 사람이 천공(天空)을 쳐다볼 적에 공중에 마치 꽃 같은 것이 어른어른하게 보이는 것을 말하는데, 본디 실재하지 않는 것을 실재하는 것이라고 잘못 아는 것, 세계가 본디 실체가 없는데 망견(妄見)에 이끌려 실체가 있다고 착각하게 됨을 비유하는 말로 불가(佛家)에서 이르는 번뇌(煩惱)의 일종인 망상(妄想)을 뜻한다.

공화[空華]  번뇌(煩惱)가 있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망상(妄想). 원래는 눈병 걸린 사람의 눈에 괜히 어른거리는 환화(幻化)의 허공 꽃을 말하는데, 일체 만물과 세계 가운데 변하지 않는 실체(實體)가 있다고 망견(妄見)을 일으키는 사람을 비유할 때 불가(佛家)에서 곧잘 쓰는 표현이다. <成唯識論 卷8>

공화[空華]  눈앞에 불똥 같은 것이 어른어른 보이는 증세. 공화는 곧 공중(空中)의 꽃이란 뜻으로, 공중에는 원래 꽃이 없는 것이지만 안질(眼疾)이 있는 사람은 눈이 흐린 때문에 항상 실없이 공중의 환화(幻華)를 보게 되는 데서, 즉 본래 아무런 실체(實體)의 경계(境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망녕된 견해[妄見]에 의해 착각을 일으키어 실제로 있다고 여기는 데에 비유하는 말이다. 공화(空花), 안화(眼花) 등으로 불린다.

공화[共和]  두 사람 이상이 화합하여 정무(政務)를 시행함을 이른다. 소공(召公)과 주공(周公) 두 사람이 함께 나라를 다스린 것을 가리키는 말에서 기원되었다. 서주(西周) 때 여왕(厲王)이 출분(出奔)한 뒤 14년 동안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이 협의하여 행한 정치. 사기(史記) 주본기(周本紀)에 “소공(召公)과 주공(周公) 두 상(相)이 정사(政事)를 행하니, 이를 ‘공화(共和)’라고 하였다.”고 하였는데, 이것이 중국에서 연호(年號)를 사용한 시초이다.

공화[共和]  여왕(厲王)이 폭정을 행하여 쫓겨난 뒤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이 섭정(攝政)한 14년의 기간을 말한다. 임금 없이 두 공(公)이 공동 집정(共同執政)하였기 때문에 ‘공화(共和)’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하는데, 공화 원년은 B. C. 841년에 해당된다. <史記 周本紀 正義注>

공화[共和]  주(周)나라 사람으로 공(共) 땅에 봉해졌기 때문에 공화(共和)라고 일컬어지며, 백작(伯爵)을 지냈기 때문에 공백화(共伯和)라고도 일컬어진다. 인의(仁義)를 행하기를 좋아하였으므로 제후들이 이를 높이고 어질게 여겼다. 주(周) 여왕(厲王)이 체(彘)로 달아나자 천자(天子)의 일을 섭행(攝行)하였다. <竹書紀年 下>

공화급기[恐禍及己]  화가 자신에게 미칠까 염려함을 이른다.

공화만안[空花滿眼]  눈병에 걸리면 허공에 꽃이 만발한 듯 보이는 것처럼 중생의 번뇌로 말미암아 떠오르는 여러 가지 망상을 뜻하는 불교의 용어이다. 허깨비 꽃[空華, 空花]이란 불교에서 이른바, 안질이 있는 사람의 시각(視覺) 중에 나타나는 허공의 꽃 현상을 말한 것으로, 흔히 망상에 비유한다. 불경(佛經)에 “일체의 세간(世間)은 허공에 아른거리는 꽃과 같다.”라 하였는데, 그것은 눈에 병이 있는 사람이 허공을 쳐다보면 꽃 같은 것이 아른거리나 실제로는 꽃이 없다는 뜻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