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과질[瓜瓞]~과질시[瓜瓞詩] 북치[瓞]


과질[瓜瓞]  오이 덩굴로, 왕실의 후손을 비유하는 말이다. 시경(詩經) 면(綿)에 “면면히 이어진 오이 덩굴이여, 주나라에 사람들이 처음으로 산 것은, 저수(沮水)와 칠수(漆水)에 터전을 잡으면서부터이다.[綿綿瓜瓞 民之初生 自土沮漆]”라고 하였는데, 그 주(註)에 “오이 덩굴이 처음에는 짧다가 뒤에는 퍼진다는 것으로, 주나라 왕실이 처음에 저칠(沮漆)에서 미약하게 살다가 문왕 때에 이르러 커진 것을 비유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과질[瓜瓞]  오이[瓜]와 북치[瓞]. 큰 오이와 작은 오이. 오이가 차례차례 열려 끊이지 않듯이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이 번성하는 것을 비유한다. 왕실이 영구히 이어지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다. 시경(詩經) 면(緜)에, 주(周)나라 왕실이 본래 태왕(太王)으로부터 비롯하였음을 노래하여 “연이어 열리는 큰 오이 작은 오이여, 주나라에 사람이 처음 산 것이, 저수(沮水)와 칠수(漆水) 강가로부터였네.[緜緜瓜瓞 民之初生 自土沮漆]”라고 한 데서 연유하였다. 질과(瓞瓜).   ‘북치’를 국어사전에 ‘그루갈이로 열린 작은 오이’라 하였고, 또 ‘북쪽 지방에서 나는 산물이나 생물[北치]’이라 하였다. 그런데 ‘북치’에 대한 언뜻 우리말 생각에 ‘북치’란 ‘뿌리 근처의 것’, 전(轉)하여 ‘뿌리에 가까운 줄기에 열리는 초생(初生) 오이’를 이르는 것이 아닌가 싶다. 밑줄기에 먼저 열리는 오이는 작고, 나중에 왕성히 뻗은 덩굴에 열리는 오이는 크다.

과질시[瓜瓞詩]  과질은 시경(詩經) 대아(大雅) 면(綿)에 나오는데, 즉 큰 오이와 작은 오이를 가리키는바, 끊임없이 이어지는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을 비유한 말이다. 이 시는 곧 주공(周公)이 어린 성왕(成王)을 경계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그 대략은 주(周)나라 태왕(太王)이 처음 저수(沮水)와 칠수(漆水) 가의 빈(豳) 땅에 도읍하여 왕업을 창시했다가, 뒤에 다시 기주(岐周)로 천도하여 왕업을 넓힘에 따라 문왕(文王)이 이로 인하여 끝내 천명(天命)을 받게 된 사실을 추술(追述)한 것이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면(綿)에 “면면히 이어진 큰 오이 작은 오이여, 백성의 처음 삶이 저수(沮水)와 칠수(漆水)에 자리 잡은 데서 시작되었네.[綿綿瓜瓞 民之初生 自土沮漆]”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