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고명지려자[求高名之麗者] 높고 큰 집의 대들봇감을 찾는 사람. 麗는 대들보, 欐와 통한다. 장자(莊子) 제4편 인간세(人間世)에 “송(宋)나라에 형씨(荊氏)라고 하는 땅이 있는데 가래나무, 잣나무, 뽕나무가 토질(土質)에 맞았다. 그중에서 세 아름 네 아름 정도로 자란 나무는 높고 큰 집의 대들봇감을 찾는 사람이 베어간다.[宋 有荊氏者 宜楸柏桑 其三圍四圍 求高名之麗者斬之]”고 하였다.
구고법[句股法] 직각삼각형으로 생긴 논이나 밭을 측량하는 방법이다.
구고법개방[句股法開方] 구고법(句股法)은 삼각형의 직각에 짧은 변을 고(股), 긴 변을 구(句), 빗변을 현(弦)이라 하여 사물의 높이와 깊이, 너비와 길이를 계산하는 방식이고, 개방법(開方法)은 평방근이나 입방근, 곧 세제곱이나 제곱근을 산출하는 공식을 말한다.
구고심론 산려소요[求古尋論 散慮逍遙] 옛것을 구하여 의논을 찾으며, 잡념을 흩어 버리고 소요자적한다. 求(구)는 찾는다는 뜻이다. 古(고)는 지난 시대이다. 尋(심)은 곧 찾는다는 뜻이다. 論(논)은 변별하여 논의함이다. 散(산)은 흩뜨린다는 뜻이다. 慮(려)는 생각한다는 뜻이다. 逍遙(소요)는 노닐어 쉼이다.
구고학[九皐鶴] 구고(九皐)에 있는 학(鶴). 구고(九皐)는 수택(水澤)의 깊은 곳을 말하는데, 시경(詩經) 학명(鶴鳴)에 “학이 구고에서 울면 소리가 하늘에까지 들린다.[鶴鳴于九皐 聲聞于天]”라고 한 데서 왔다. 재덕(才德)이 깊고 두터운 군자는 비록 비천한 환경에 처해 있더라도 그 빛이 절로 드러나 명성이 임금에게까지 들린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구고현[句股弦] 구고현은 직각(直角) 삼각형의 세 변(邊)을 말한다.
구고현정리[句股弦定理] 천문 수학서 주비산경(周髀算經)에서 직각삼각형의 세 변 가운데 구(句)가 3이고 고(股)가 4이면 현(弦)은 5가 된다는 정리(定理).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유사하다.
구고호각[句股弧角] 구고는 직각 삼각형이고 호각은 원(圓)과 각(角)으로 모두 기하학에 쓰이는 용어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