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구보[口譜]~구보거행[句步倨行]~구보인령[矩步引領]~구복[甌卜]


구보[口譜]  입으로 전하는 족보. 입으로 족보를 읊을 수 있을 정도로 가계(家系)에 해박함을 이른다.

구보거행[句步倨行]  구는 직선이고 거는 곡선인데 주례(周禮) 고공기(考工記)에 보인다. 한 발자국 한 걸음이 법에 맞게 행동함을 뜻하기도 한다.

구보인령 부앙랑묘[矩步引領 俯仰廊廟] 걸음을 바르게 하며 옷차림을 단정히 하고, 조정(朝廷)에 오르내림. 구보(矩步)는 직각으로 돌아 곡척(曲尺)에 맞게 하는 것이고, 인령(引領)은 결령(絜領)과 같으니 옷깃을 가지런히 함을 말한다. 구(矩)는 네모(직각)를 만드는 기구이고, 보(步)는 발이 밟는 것이니, 예기(禮記) 옥조(玉藻)에 이르기를 “직각으로 돌아 곡척에 맞게 한다.” 하였다. 인(引)은 뺀다[延]는 뜻이니, 맹자(孟子) 양혜왕 상(梁惠王上)에 이르기를 “목을 빼고 바라본다.” 하였다. 머리를 숙임이 부(俯)이고 머리를 들음이 앙(仰)이다. 랑(廊)은 행랑이다. 묘(廟)는 조상의 정신이 머문 곳이다.

구복[龜卜]  고대에 점을 칠 때 거북 껍데기와 시초(蓍草)를 사용했는데 거북 껍데기로 치는 점을 복(卜)이라 하고, 시초로 치는 점을 서(筮)라 하였다. 거북 껍데기로 치는 복이 먼저이고 더 정확했다고 한다.

구복[甌卜]  금구매복(金甌枚卜)의 준말로 새로 재상을 임명하는 것을 말한다. 당나라 현종(玄宗)이 재상을 뽑을 때 책상에 이름을 써서 금 사발로 덮고, 사람들에게 이를 맞추어 보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구복[九服]  주(周)나라 시대에 왕기(王畿) 밖을 5백 리마다 9등급으로 구분한 지역을 말하는데, 후복(侯服), 전복(甸服), 남복(男服), 채복(采服), 위복(衛服), 만복(蠻服), 이복(夷服), 진복(鎭服), 번복(藩服) 등이다. <主禮 夏官司馬 職方氏>

구복[九服]  중국 주(周)나라 때 왕기(王畿)를 사방 천 리로 하고, 그 주위를 상하 좌우 각각 오백 리마다 일기(一畿)로 구획하여, 후복(侯服)・전복(甸服)・남복(男服)・채복(采服)・위복(衛服)・만복(蠻服)・이복(夷服)・진복(鎭服)・번복(蕃服)으로 한 것을 말한다. 복(服)은 천자에게 복종한다는 뜻이다. 중국 고대에는 왕기의 밖을 오복(五服)으로 했는데, 주공(周公) 때에 이르러 구복(九服)으로 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