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구외불출[口外不出]~구요[衢謠]~구요[久要]~구요각[九曜閣]


구외불출[口外不出]  말을 입 밖에 내지 않음, 곧 비밀을 지킴의 비유이다.

구요[衢謠]  강구요(康衢謠)와 격양가(擊壤歌). 구요(衢謠)의 구(衢)는 강구(康衢)의 준말로, 번화한 거리라는 의미이다. 요(堯) 임금이 천하를 다스린 지 50년 만에 미복(微服) 차림으로 강구에 나가니 아이들이 “우리 백성들을 성립시킨 것이 모두 임금의 덕이라, 백성들은 아무것도 모르고 임금의 법칙을 따를 뿐이다.[立我烝民, 莫非爾極. 不識不知, 順帝之則.]”라고 노래 불렀고, 한 노인은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리며 노래하기를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쉬노라. 우물 파서 물마시고 밭 갈아서 먹고 사니,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슨 상관이 있는가.[日出而作, 日入而息. 鑿井而飮, 耕田而食. 帝力何有於我哉.]”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로, 백성들이 태평 시대를 구가(謳歌)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요[衢謠]  격양가(擊壤歌)를 말한다.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이다. 중국의 요 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그 내용은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쉬네. 샘을 파서 마시고, 밭을 갈아 먹네. 황제의 힘이 나에게 무슨 관계가 있는가?[日出而作 日入而息 鑿井而飮 耕田而食 帝力於我何有哉]”라고 했다.

구요[咎繇]  구요는 순(舜) 임금의 어진 신하인 고요(皐陶)를 가리킨다. 고요는 나라를 안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계책을 진달하였다. 형벌을 맡아 공평하게 다스렸으므로 순(舜)은 그의 공을 칭찬하여 “형벌할 적에 형벌을 없애려고 하여 백성들이 모두 중도(中道)에 맞는다.”고 하였다. <書經 大禹謨> 순(舜) 임금이 “임금의 팔다리인 대신들이 즐겁게 일하면 임금의 다스림이 흥기되어 백관들이 기뻐할 것이다.”라고 노래하자, 이에 화답하여 “임금께서 현명하시면 대신들도 훌륭하여 만사가 안정될 것입니다.”하고, 또 이어서 “임금께서 잗달게 굴면 대신들도 태만해져서 만사가 폐해질 것입니다.”라고 하였는데, 임금을 권면한 노래의 전범으로 꼽힌다. <書經 益稷>

구요[久要]  옛 약속. 오래된 옛날 약속을 가리킨다. 要(요)는 언약 또는 맹세의 뜻을 갖는다. 논어(論語) 헌문(憲問)에 “오래된 약속이라도 평소에 한 말들을 잊지 않는다면 성인이 될 수 있다.[久要不忘平生之言, 亦可以爲聖人矣.]라고 하였다. 공안국(孔安國)은 “구요(久要)는 옛날에 한 오래된 약속이고, 평생(平生)은 젊었을 때를 말한다.[久要舊約也, 平生猶少時.]”라고 하였다.

구요[九曜]  구요성(九曜星). 칠요성(七曜星: 日・月・水・火・木・金・土星)에 나후(羅喉)・계도(計都) 두 별을 보탠 것이다.

구요각[九曜閣]  구요각(九曜閣)은 도교(道敎)에서 숭상(崇尙)하는 구요(九曜), 즉 태양신(太陽神)의 상(像)을 모신 건물을 지칭한다.

구요동[舊遼東]  요동에서 동쪽으로 5리 떨어진 곳으로, 한나라 때에는 양평성(陽平城)이라고 하였고 오대(五代) 때에는 발해(渤海)라고 하였다. 그 후 요(遼)・금(金)에 소속되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