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지곡[龜旨曲] 구지가(龜旨歌)는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대 가요로서 영신군가(迎神軍歌), 구지봉영신가(龜旨峯迎神歌) 등으로 불린다. 가야국(伽倻國)의 고대 설화에 의하면 대략, 서기 42년 3월 계욕(禊浴)의 날에 구지봉(龜旨峯)에서 이상한 소리가 났는데, 사람의 소리 같기는 하나 그 형상은 숨기고 소리만 내어 묻기를 “여기에 누가 있는가?”라고 하므로, 구간(九干) 등이 “우리가 있소.”라고 대답하니, 그는 또 “내가 있는 곳이 어딘가?”라고 하므로, 구간 등이 “구지요.”라고 대답하자, 그는 다시 “하늘이 나에게 명하여 이곳에 와서 나라를 새로 세워 임금이 되라 하였으므로 이에 내려왔으니, 너희들은 모름지기 정봉(頂峰)을 파서 흙을 모으면서 ‘……’라고 노래를 하라. 그리하면 곧 대왕을 맞이하여 너희들은 매우 기뻐서 춤을 추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하는바, 구지가(龜旨歌)는 바로 그 노래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한다. 이때 구간 등이 그의 말대로 따랐더니, 얼마 후에 자주색 노끈이 하늘로부터 드리워져 땅에 닿으므로, 그 끝을 찾아보니 붉은 보자기에 금합(金合)이 싸여 있어, 이것을 열어 보니 그 속에는 해와 같이 둥근 황금빛 알 여섯 개가 있어 모든 사람이 서로 놀라고 기뻐하여 여기에 절을 하고 아도간(我刀干)의 집에 모셔 두었다가, 다음 날 아침에 다시 이 금합을 열어 보니 알 여섯 개가 모두 동자로 변해서 용모가 매우 준수하여 모두 6가야국의 왕이 각각 되었는데, 김수로왕(金首露王) 또한 그중의 한 사람으로, 키가 9척이며 제일 먼저 사람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수로(首露)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고, 따라서 대가야국(大伽倻國)의 왕이 되었다 한다.
구지도구[丘之禱久] 공자(孔子)가 병이 위중해지자, 자로(子路)가 신명(神明)께 기도하기를 청하므로, 공자가 “그런 예가 있느냐?”라고 하니, 자로가 대답하기를 “그런 예가 있습니다. 어떤 사람의 뇌문에 ‘너를 천지의 신에게 빈다’는 말이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공자가 “나는 하늘에 기도한 지 이미 오래되었다.[丘之禱久矣]”라고 하였다. <論語 述而> 그 주(註)에 “기도는 잘못을 회개(悔改)하고 선(善)으로 옮겨가서 신(神)의 도움을 기구(祈求)함이다. 그런 이치가 없다면 기도할 필요가 없고, 이미 병을 위해 기도하는 이치가 있다 하더라도 성인은 허물을 지은 적이 없으니 더 이상 옮겨갈 선이 없다. 공자는 평소의 행동이 이미 신명(神明)의 뜻에 부합하였기 때문에 ‘나는 기도한 지 오래이다.[丘之禱久矣]’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구지등[九枝燈] 아홉 가닥으로 갈라져 마치 시렁처럼 각각 얹혀 있는 촛대. 하나의 몸체에 아홉 개의 촛대가 달려 있어 초를 꽂게 되어 있는 등. 하나의 줄기에서 9개의 가지가 나와 그것들 각각에 등불을 켠 화려한 촛대. 기둥 하나에 아홉 개의 초가 밝혀진 등을 가리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