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군[郡君] 고대(古代) 부녀자(婦女子)의 봉호(封號)로 한(漢)나라 무제(武帝)가 처음으로 왕태후(王太后)의 어머니인 장아(臧兒)를 높여 평원군(平原君)이라 하였는바, 이것이 군군(郡君)을 봉한 시초이다. 이때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자기 고향인 병주(幷州)에 행차하여 친척들을 모아 잔치하며 나이 많은 부인들에게 특별히 은전을 내렸는바, 군군(郡君)에는 정사품(正四品)과 종사품(從四品), 정오품(正五品)의 차이가 있다.
군군신신[君君臣臣]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다는 뜻으로, 임금과 신하가 각기 자기의 역할을 다하여 정치가 제대로 행해지는 것을 말한다. 공자(孔子)가 제 경공(齊景公)으로부터 정치에 대한 질문을 받고 대답한 말이다. <論語 顔淵>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답다.
군궁귀[群窮鬼] 당(唐) 나라 한유(韓愈)가 자신을 곤궁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다섯 가지를 귀신에 비기어 서술한 송궁문(送窮文)에서 온 말로, 지궁(智窮)・학궁(學窮)・문궁(文窮)・명궁(命窮)・교궁(交窮)을 가리킨다.
군극[裙屐] 치마와 나막신. 육조 시대(六朝時代) 귀족 자제들의 복식이었다. 부잣집 자제의 세련된 차림새. 부잣집 자제.
군급[宭急] 막다른 지경에 다다라 급함.
군기[群機] 여러 근기(根機)란 뜻으로, 즉 수많은 중생(衆生)을 의미한다.
군기미[軍器米] 군기고(軍器庫)의 유지를 목적으로 거두는 쌀이다.
군기시우각[軍器寺牛角] 군기시에서 병장기를 제조할 때 활 등의 재료로 쓰이는 쇠뿔이다.
군기전[軍其前] 그 전면을 공격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