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음[馬上音], 마상의선[磨上蟻旋], 마상재[馬上才], 마상진랍[馬上秦臘]
마상음[馬上音] 한 나라 무제(武帝)가 종녀(宗女)를 오손(烏孫)에게 시집보내면서 마상악(馬上樂)을 만들어 고국을 그리는 생각을 위로하게 하였다. 마상의선[磨上蟻旋] 개미가 맷돌 위에서 다닐 때에…
마상음[馬上音] 한 나라 무제(武帝)가 종녀(宗女)를 오손(烏孫)에게 시집보내면서 마상악(馬上樂)을 만들어 고국을 그리는 생각을 위로하게 하였다. 마상의선[磨上蟻旋] 개미가 맷돌 위에서 다닐 때에…
마상봉도[馬上奉導], 마상봉한식[馬上逢寒食], 마상상봉구 인중욕인난[馬上相逢久 人中欲認難], 마상선[馬尙船], 마상선[麻尙船], 마상성[馬上聲], 마상쌍검[馬上雙劍], 마상월도[馬上月刀], 마상유기공[馬上有奇功]
마상내옹[馬上乃翁], 마상득구위[馬上得九圍], 마상득지 영가이마상치지[馬上得之 寧可以馬上治之], 마상득지[馬上得之], 마상백[馬相伯]
마상[馬常] 뛰어난 여러 아들을 뜻한다. 마량(馬良)의 오 형제 중 맏이인 마량이 가장 저명하였는데, 그의 눈썹이 희었으므로 사람들이 “마씨(馬氏) 오 형제[五常]…
마사유전[馬史流傳], 마사제[馬社祭], 마사환기주[麻思還冀州], 마산[摩山], 마산[馬山], 마산[磨山], 마산포[馬山浦], 마삼[馬森], 마삼근[麻三斤], 마삼근건시궐[麻三斤乾屎橛], 마삼대[馬三代]
마사[馬史], 마사[摩挲], 마사[馬社], 마사단[馬社壇], 마사도[馬司徒], 마사동적[摩挲銅狄], 마사서사[麻沙書肆], 마사영[馬士英], 마사영완대성[馬士英阮大鋮]
생계를 잘 꾸리는 사람은 가족들로 하여금 일정한 생업에 힘쓰게 할 뿐 반드시 집안을 부유하게 하려 들지는 않는다. 일처리를 잘하는 사람은…
아이를 가르침에는 마땅히 엄해야 하니 엄격한 기운이 족히 조급한 기운을 다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소인을 대함에는 마땅히 정중해야 하니 공경하는…
마복편[馬腹鞭], 마봉[麻蓬], 마부계[馬夫契], 마부대[馬夫大], 마부위침[磨斧爲針], 마부작침[磨斧作針], 마불가어채[麻不加於采], 마불린[磨不磷], 마불식곡[馬不食穀], 마빈[磨牝]
마복파[馬伏波], 마복파견비연타수[馬伏波見飛鳶墮水], 마복파계형자서[馬伏波戒兄子書], 마복파누사덕[馬伏波婁師德], 마복파동주[馬伏波銅柱], 마복파두계량[馬伏波杜季良], 마복파의이[馬伏波薏苡], 마복파정법시비[馬伏波政法是非]
마보[馬步], 마보군도부서[馬步軍都部署], 마보단[馬步壇], 마보사[馬步射], 마복[馬服], 마복군[馬服君], 마복서[馬服書], 마복자[馬服子], 마복지자[馬服之子], 마복탑[馬福塔]
일을 처리함에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해야만 하고 독서를 함에 있어서는 자신의 절실함으로 공부에 힘써야만 한다. 處事要代人作想, 讀書須切己用功. 처사요대인작상, 독서수절기용공. <圍爐夜話위로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