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임용법, 인재 사용법 <설원/군도> 自貢其能자공기능
탕(湯)이 이윤(伊尹)에게 물었다. “삼공(三公), 구경(九卿), 27대부(大夫), 81원사(元士)를 임용할 때 알아두어야 할 법도가 있습니까?” 이윤(伊尹)이 대답하였다. “옛날 요(堯) 임금은 사람을 보면…
탕(湯)이 이윤(伊尹)에게 물었다. “삼공(三公), 구경(九卿), 27대부(大夫), 81원사(元士)를 임용할 때 알아두어야 할 법도가 있습니까?” 이윤(伊尹)이 대답하였다. “옛날 요(堯) 임금은 사람을 보면…
우(禹)임금이 밖에 나갔다가 죄인을 만나자, 수레에서 내려 그 사정을 묻고는 눈물을 흘렸다. 그러자 좌우 신하가 말하였다. “무릇 죄인이란 법도를 지키지…
하간(河間)의 헌왕(獻王)이 말하였다. “우(禹)임금이 이르기를 ‘백성이 굶주리면 더 이상 그들을 부리지 못하고, 공을 이루고도 그 이익이 돌아가지 않는다면 나는 더…
주공(周公)이 천자(天子)의 지위를 대신해서 덕을 펴고 은혜를 베풀었다. 멀리까지 자세히 살피기 위해 12목(牧)을 설치하고 각 세 명씩을 파견하여 먼 지방의…
하간(河間)의 헌왕(獻王)이 이렇게 말하였다. “요(堯)임금은 천하에 마음을 두고, 가난한 백성을 보살피는 데 그 뜻을 쏟았다. 많은 백성들이 죄에 걸려드는 것을…
노(魯)나라 애공(哀公)이 공자(孔子)에게 물었다. “듣자하니 군자는 도박을 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있습니까?” 공자가 대답하였다. “있습니다.” 애공이 다시 물었다. “무슨…
제(齊)나라 선왕(宣王)이 유문(尹文)에게 물었다. “군주로서 해야 할 일은 무엇입니까?” 윤문이 대답하였다. “군주가 해야 할 일은 인위적으로 하지 않고도 아랫사람들을 능히…
성왕(成王)이 백금(伯禽)을 노공(魯公)으로 봉하고, 그를 불러 말하였다. “그대는 윗자리에 있는 사람의 도리를 아는가? 무릇 높은 자리에 있는 자는 반드시 아랫사람을…
진나라 평공이 숙향에게 물었다. “흉년이 들고 질병 도는데다가 적인까지 우리를 공격해 오고 있으니 어떻게 대처해야 하겠습니까?” 숙향이 대답하였다. “흉년이 든…
장주(莊周)가 집이 가난하여 위(魏)나라에 가서 식량을 꾸어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문후가 이렇게 핑계를 대었다. “우리 백성들이 곡식을 바쳐 오면 그때…
장록(張祿)은 문지기의 임무를 띠고 있었는데, 어느 날 맹상군을 만나 이렇게 물었다. “옷을 항상 새것으로 낡지 않게 하고, 창고가 항상 가득…
위 영공(衛靈公)이 사추(史鰍)에게 물었다. “정치에서 가장 힘써야 할 것이 무엇입니까?” 사추가 대답하였다. “법을 집행하는 일에 가장 힘써야 합니다. 재판이 공정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