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참[軍讖]~군책군력[群策群力]~군척[捃摭]~군초[群峭]
군차휴의 오장사지[君且休矣 吾將思之], 군참[軍讖], 군책군력[群策群力], 군척[捃摭], 군첨[軍簽], 군초[群峭], 군총[軍摠]
군차휴의 오장사지[君且休矣 吾將思之], 군참[軍讖], 군책군력[群策群力], 군척[捃摭], 군첨[軍簽], 군초[群峭], 군총[軍摠]
군지오불약신지오[君之獒不若臣之獒], 군직전보 잡색입류[軍職轉補 雜色入流], 군진[君陳], 군진장중[君陳張仲], 군진효우지정[君陳孝友之政]
군죽[郡竹], 군중단문장군령[軍中但聞將軍令], 군지[軍持], 군지국사 장일비[君之國事 將日非], 군지시신 불사동견마지천[君之視臣 不使同犬馬之賤]
군종[群從] 당형제(堂兄弟) 및 아들과 조카뻘 되는 이들을 모두 아울러 가리킨다. 도잠도잠(陶潛) 시 비종제중덕(悲從弟仲德)에 “촌수로는 이름하여 사촌이지만. 아끼고 사랑함은 친형제와 같았네.[禮服名群從…
군저[群狙], 군저옥[郡邸獄], 군전[軍錢], 군정[軍井], 군정[軍政], 군정[軍丁], 군정막부정[君正莫不正], 군정수[軍政修]
군작미[軍作米] 군포(軍布)를 미곡(米穀)으로 환산하여 만든 것이다. 이것을 적당한 시기에 수납・방출하여 흉년의 진제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經世遺表 卷12 地官修制 倉廩之儲一> 군장[軍匠] 군인으로서…
군자행[君子行] 고악부(古樂賦) 상화가사(相和歌辭) 중의 하나로 군자의 행실을 노래한 것이다. 진(晉)나라 육기(陸機) 등의 작품이 있다. 조식(曹植)의 군자행(君子行)에 “군자는 매사를 미연에 방지하여,…
군자표변[君子豹變], 군자피삼단[君子避三端], 군자학[君子鶴], 군자학도즉애인 소인학도즉이사[君子學道則愛人 小人學道則易使]
군자지후[君子之後], 군자창광흥창[軍資倉廣興倉], 군자체인 족이장인[君子體仁 足以長人], 군자친기친[君子親其親], 군자탄탕탕[君子坦蕩蕩], 군자탕탕 소인척척[君子蕩蕩 小人戚戚]
군자지도 조단호부부[君子之道 造端乎夫婦], 군자지도비이은[君子之道費而隱], 군자지도사[君子之道四], 군자지로[君子之路], 군자지원기자[君子之遠其子]
군자중용[君子中庸], 군자지과[君子之過], 군자지교 절무악성[君子之交 絶無惡聲], 군자지교담약수[君子之交淡若水], 군자지국[君子之國], 군자지덕풍[君子之德風]
군자일언이위지[君子一言以爲知], 군자임중[君子任重], 군자정[君子亭], 군자존신 취즉어칩[君子存身 取則於蟄], 군자주야서인자수야[君子舟也庶人者水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