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이불관[氣已不貫]~기이유곡[期而猶哭]~기이유지[棄爾幼志]
기이불관[氣已不貫], 기이불사[忌而不思], 기이성형[氣以成形], 기이세월[期以歲月], 기이여인 기유유[旣以與人 己愈有], 기이유곡[期而猶哭], 기이유지[棄爾幼志], 기이일신사이성[豈以一身事二姓]
기이불관[氣已不貫], 기이불사[忌而不思], 기이성형[氣以成形], 기이세월[期以歲月], 기이여인 기유유[旣以與人 己愈有], 기이유곡[期而猶哭], 기이유지[棄爾幼志], 기이일신사이성[豈以一身事二姓]
기이[期頤], 기이[歧貳], 기이구서직[饑而求黍稷], 기이기방[欺以其方], 기이망식[飢而忘食]
기의[己意], 기의[譏議], 기의[機宜], 기의문자[機宜文字], 기의양[棄意羊], 기의작화지불식[豈宜爝火之弗熄], 기의한성[寄意寒星]
기육[肌肉], 기윤[紀昀], 기은[祈恩], 기은[欺隱], 기음[奇音], 기음장중[起飮帳中], 기응[寄應], 기응[氣應], 기응밀실관[氣應密室管]
기유명부구수[旣有名復求壽], 기유봉사[己酉封事], 기유생[棄繻生], 기유유찰[己酉遺札], 기유음식 불여물식[器有飮食 不與勿食], 기유후생[棄繻後生]
기유[棄繻], 기유[豈惟], 기유[岐囿], 기유[棄遺], 기유[覬覦], 기유[豈有], 기유극[其有極], 기유년[棄繻年]
기위기야 배의여도[其爲氣也 配義與道], 기위동주[其爲東周], 기위악정[夔爲樂正], 기위이행 불원기외[其位而行 不願其外], 기위후직 이증민립[棄爲后稷 而烝民粒]
기월[期月] 1개월 또는 12개월을 이른다.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만일 나를 등용해주는 자가 있다면 기월(朞月)만 하더라도 괜찮을 것이니, 3년이면 이루어짐이 있을 것이다.[苟有用我者…
기원교서[寄元校書], 기원녹죽[淇園綠竹], 기원록[淇園綠], 기원림[祇園林], 기원정사[祇園精舍], 기원죽[淇園竹]
기원[琪園] 선경(仙境)에 있다고 하는 옥수(玉樹)가 자라는 정원이다. 기원[淇園] 고대 위(衛)나라 공원으로 대가 생산되었다. 후한서(後漢書) 권16 구순열전(寇恂列傳)에 “구순이 예하의 고을에 공문을…
기운[氣韻], 기운[機雲], 기운관천문[騎雲款天門], 기운생동[氣韻生動], 기운입낙중[機雲入洛中], 기운작부초[機雲作賦初]
기우지사[沂雩之思], 기우지흥[沂雩之興], 기우진인[騎牛眞人], 기우천재상 안득영이귀[沂雩千載想 安得詠而歸], 기우첩[騎牛帖], 기우침린[羇羽沈鱗], 기우태상[紀于太常], 기욱[淇澳], 기욱녹죽[淇奧綠竹], 기욱시[淇澳詩], 기욱장[淇澳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