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는다는 것은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 <列子열자/天瑞천서>
제(齊)나라의 재상 안자(晏子)가 말하였다. “옛날부터 죽음이 있었던 것은 참으로 좋은 일이다. 어진 사람은 죽는 것을 편히 쉬는 것이라 생각하고, 어질지…
제(齊)나라의 재상 안자(晏子)가 말하였다. “옛날부터 죽음이 있었던 것은 참으로 좋은 일이다. 어진 사람은 죽는 것을 편히 쉬는 것이라 생각하고, 어질지…
하루는 자공(子貢)이 공부하는 것이 실증이 나서 공자(孔子)에게 말했다. “이제는 공부를 그만두고 편안히 쉴 곳을 찾아가고 싶습니다.” 공자가 말하였다. “살아 있는…
사영운(謝靈運)은 곡병립(曲柄笠) 쓰기를 좋아하였다. 공은사(孔隱士: 공순지孔淳之)가 말하였다. “그대는 마음이 고상(高尙)하고 원대(遠大)하기를 희구(希求)하면서 어찌하여 곡개(曲蓋) 따위의 외관을 버리지 못하는 것이오?” 사영운이…
움직이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구름 속의 번개나 바람 앞의 등불과 같고 고요함을 즐기는 사람은 불 꺼져 식은 재나 마른 나무와 같다.…
명분이나 실질에 있어서는 달라진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성내는 작용을 하는 것도 역시 이 때문이다. 그래서 성인은 모든 시비를 조화시켜 하늘의 저울[天鈞]에 맡기고 편안히 쉬니, 이것을 일컬어 양행(兩行)이라 한다.
거백옥(蘧伯玉)은 나이 60이 되기까지 60번이나 삶의 태도가 바뀌었다. 처음에는 옳다고 주장했던 일도 끝에 가서는 옳지 않은 일이라고 부정하지 않는 일이…
장자가 산 속을 가다가 큰 나무를 보았는데 가지와 잎이 무성하였다. 나무꾼이 그 옆에 있으면서도 나무를 베지 않아 그 까닭을 물으니…
그 본분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 어찌 문장에 있어서 만이겠습니까. 일체의 온갖 일들에 다 해당되는 것이겠지요. 화담(花潭)선생이 밖에 나갔다가 제 집을…
곽탁타(橐駝傳)의 본래 이름이 무엇인지는 모른다. 구루병(佝僂病)으로 등이 높이 솟아 구부리고 다녔으므로, 그 모습이 낙타(駱駝)와 비슷하여 마을 사람들이 ‘타(駝)’라고 불렀다. 탁타는…
송(宋)나라 사람 중에 조상(曹商)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송나라 임금을 위해 진(秦)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그가 갈 때 수레 몇 채가 주어졌다. 진나라…
옛 사람은 생이란 잠시 오는 것인 줄 알았고 죽음이란 잠시 가는 것인 줄 알았다. 마음대로 움직여도 자연에 어긋나지 않았고…
성인은 대자연의 생명력에 따라 같이 변화해 가고, 사람의 인위적인 기교에 대해서는 그리 큰 기대를 가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