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림정사[東林精舍], 동림제현[東林諸賢], 동림조담[洞林照膽], 동림지화[東林之禍]
동림정사[東林精舍] 여산(廬山)에 있는 사찰로, 동진(東晉) 때 정토종(淨土宗)의 시조인 혜원(慧遠)이 강주자사(江州刺史)로 있던 환이(桓伊)의 도움으로 창립한 절이다. 혜원법사(慧遠法師)가 유유민(劉遺民), 뇌차종(雷次宗), 종병(宗炳) 등…
동림정사[東林精舍] 여산(廬山)에 있는 사찰로, 동진(東晉) 때 정토종(淨土宗)의 시조인 혜원(慧遠)이 강주자사(江州刺史)로 있던 환이(桓伊)의 도움으로 창립한 절이다. 혜원법사(慧遠法師)가 유유민(劉遺民), 뇌차종(雷次宗), 종병(宗炳) 등…
동림사[桐林寺] 아산군지(牙山郡誌)에 의하면, 동림사는 신라 때 창건되어 조선 시대까지 명맥을 유지하다가 폐사되었다고 한다. 1942년에 동림사 터에 법당을 중창하여, 관음사로 개명하였다.…
동림강학[東林講學] 송 나라 양시(楊時)가 무석(無錫)에 동림서원(東林書院)을 건립하여 강학하였는데, 명(明) 나라 만력(萬曆) 연간에 고헌성(顧憲成)이 그의 아우 고윤성(顧允成)과 함께 재건하여 동지인 고반룡(高攀龍)…
동린미색[東隣美色] 동쪽 이웃의 미녀는 전국 시대 송옥(宋玉)의 등도자호색부(登徒子好色賦)에 “동쪽 집의 처자는 1분만 더 보태면 키가 너무 크고, 1분만 감하면 키가…
동리진물색[東籬眞物色], 동리채국[東籬採菊], 동리추색[東籬秋色], 동리취[東籬趣], 동리파주[東籬把酒], 동리행인[東里行人], 동리화[東籬花], 동리후[東籬侯]
동리자산[東里子産], 동리자산윤색[東里子産潤色], 동리정관홍[東里政寬洪], 동리제금[東里製錦], 동리지언[東里之言], 동리지익[東里之益]
동리야모[東里野謀], 동리연분[東籬緣分], 동리옹[東籬翁], 동리유상원[東籬幽賞遠], 동리윤색[東里潤色], 동리음상[東籬吟賞], 동리일타[東籬一朶]
동리[東籬], 동리[銅螭], 동리[凍棃], 동리[東里], 동리각건[東里角巾], 동리고사[東里故事], 동리구[東籬句], 동리국[東籬菊], 동리비심[東里裨諶]
동릉소평포[東陵邵平圃], 동릉주선포인간[東陵晝膳脯人肝], 동릉지수[東陵之壽], 동릉지폭[東陵之暴], 동릉포옹[東陵抱甕], 동릉후[東陵侯]
동릉[東陵] 도적의 근거지를 가리킨다. 도척(盜跖)이 동릉(東陵)에서 사람의 간(肝)으로 회를 쳐서 점심 반찬으로 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장자(莊子) 변무(騈拇)에 “백이는 명예 때문에…
동륙[穜稑] 조생종(早生種)과 만생종(晩生種)의 벼. 늦벼를 동(穜)이라 하고 올벼를 육(稑)이라 한다. 주례(周禮)에 “상춘에 왕후에게 조서를 내려 육궁 사람을 거느리고 동륙의 종자를…
동류[東流], 동류무간[同流無間], 동류불일[東流不溢], 동류상종 동성상응[同類相從 同聲相應], 동류수[東流水], 동류이음[同流而飮], 동류지인[同類之人], 동류합오[同流合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