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거무시[起居無時]~기거이좌[箕踞而坐]~기거좌립[起居坐立]
기거만복[起居萬福], 기거무시[起居無時], 기거사인[起居舍人], 기거이좌[箕踞而坐], 기거일[起居日], 기거좌립[起居坐立]
기거만복[起居萬福], 기거무시[起居無時], 기거사인[起居舍人], 기거이좌[箕踞而坐], 기거일[起居日], 기거좌립[起居坐立]
기거[起居] 안부를 묻다. 문후(問候). 기거[起居] 거동. 행동. 일어서고 앉음. 일정한 곳에서 먹고 자고 하는 따위의 일상적인 생활을 함. 또는 그…
기강이란[紀綱理亂], 기강지복[紀綱之僕], 기강통서[紀綱統緖], 기개[起開], 기개관중[氣蓋關中], 기개세[氣蓋世], 기객안한[飢客眼寒]
기갈은약[飢渴隱約], 기갈자심[飢渴滋甚], 기갈자이위음식[飢渴者易爲飲食], 기감[豈敢], 기감훼상[豈敢毁傷], 기강[紀綱], 기강[幾康], 기강[起綱], 기강복[紀綱僕]
기각[掎角], 기각[忌刻], 기각[庋閣], 기각보거[掎角輔車], 기각지세[掎角之勢], 기간[幾諫], 기간[奇幹], 기간왕실[惎間王室]
기~호재[豈~乎哉], 기가[嗜痂], 기가[祈嘉], 기가[寄豭], 기가[起賈], 기가경사구축[豈可更俟驅逐], 기가벽[嗜痂癖], 기가불~호[豈可不~乎], 기가성인[旣嫁成人]
기[乞] 보내주다. 두보(杜甫)의 시 희간정광문건겸정소사업원명(戱簡鄭廣文虔兼呈蘇司業源明)에 “소사업의 도움을 받아 때때로 술값은 낼 수 있었다.[賴有蘇司業 時時乞酒錢]”라고 하였다. ‘주다’라는 뜻으로 쓸 때는 ‘기’로…
긍위[肯爲], 긍위봉후탄수기[肯爲封侯嘆數奇], 긍위우립구진우[肯爲雨立求秦優], 긍장[矜將], 긍지[矜持], 긍측[矜惻], 긍확[肯穫]
긍슬[緪瑟] 줄을 팽팽히 맨 거문고이다. 긍식[矜式] 삼가 본보기로 삼음. 조심하여 법을 지킴. 공경하여 표본으로 삼음. 맹자(孟子) 공손추 하(公孫丑下)에 “내 도성에다…
긍량[矜諒], 긍령기귀행흉억 작위복어기간재[肯令其鬼行胸臆 作威福於其間哉], 긍민[矜悶], 긍상[絚桑], 긍상[矜爽], 긍선인간격선포[肯羨人間擊鮮飽], 긍소금갑사춘농[肯銷金甲事春農], 긍수[肯數]
긍기과인[矜己誇人], 긍기사력 소재반복[矜其詐力 所在反覆], 긍기혈기[矜其血氣], 긍당[肯堂], 긍당긍구[肯堂肯構], 긍득[肯得]
긍고미유[亘古未有], 긍고지색[矜高之色], 긍공시대[矜功恃大], 긍구[肯構], 긍구긍당(肯構肯堂], 긍구긍확[肯構肯穫], 긍긍[兢兢], 긍긍업업[兢兢業業], 긍긍업업어일일만기[兢兢業業於一日萬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