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미지의[歸美之儀]~귀박우래[鬼朴又來]~귀반곡[歸盤谷]
귀미[歸美] 임금이 될 사람에게 민심이 쏠려 찬미하는 것이다. 송서(宋書) 권1 무제기(武帝紀)에 “사해가 귀미하고 조야가 추숭하였다.[四海歸美 朝野追崇]”고 하였다. 귀미지의[歸美之儀] 아름다운 이름을…
귀미[歸美] 임금이 될 사람에게 민심이 쏠려 찬미하는 것이다. 송서(宋書) 권1 무제기(武帝紀)에 “사해가 귀미하고 조야가 추숭하였다.[四海歸美 朝野追崇]”고 하였다. 귀미지의[歸美之儀] 아름다운 이름을…
귀문[龜文] 거북 모양으로 손잡이를 만든 관인(官印)이다. 한관의(漢官儀)에 “승상(丞相)은 황금으로 만든 거북 손잡이 도장에 장(章)이란 글자를 새긴다.”라 하였다. 귀문[龜文] 거북 등의…
귀모[龜毛], 귀모[鬼母], 귀모토각[龜毛兎角], 귀목술심[劌目鉥心], 귀목천년[龜木千年], 귀몽[歸夢], 귀몽[龜艨], 귀몽겁산천[歸夢怯山川], 귀묵[龜墨]
귀매[鬼魅], 귀매[歸妹], 귀매괘[歸妹卦], 귀매지점[歸妹之占], 귀매최이[鬼魅最易], 귀명[歸命], 귀명인[歸明人], 귀명정례[歸命頂禮], 귀명후[歸命侯]
귀류[歸流], 귀륵[歸扐], 귀린[龜鱗], 귀마[龜馬], 귀마[歸馬], 귀마방우[歸馬放牛], 귀마우화산지양[歸馬于華山之陽], 귀마화산아[歸馬華山阿]
귀령[歸寧] 귀녕. 부인이 친정집에 가서 문안드리는 것을 일컫는다. 출가한 여자가 친정 부모를 뵈러 가는 일을 가리킨다. 귀로자유[貴老慈幼] 예기(禮記) 제의(祭義)에 “선왕(先王)이…
귀래[歸來], 귀래벽완[歸來璧完], 귀래사[歸來辭], 귀래서갑자[歸來書甲子], 귀래송백상[歸來松柏嘗], 귀래장읍대장군[歸來長揖大將軍], 귀래정[歸來亭], 귀래탄무어[歸來嘆無魚], 귀래탄장협[歸來彈長鋏], 귀래폐진흑초구[歸來弊盡黑貂裘], 귀래학[歸來鶴]
귀내삼고[龜乃三顧] 진(晉)나라 공유(孔愉)가 거북이를 돈 주고 사서 방생(放生)을 하자, 그 거북이가 고맙다는 뜻으로 물속에서 몇 차례나 왼쪽을 돌아보고 사라졌는데[龜中流左顧者數四], 공유가…
귀근[歸根] 봄 여름에 무성하던 나뭇잎이 가을 겨울이 되어 잎이 다 떨어지고 뿌리만이 살아남는 것. 나뭇잎이 뿌리로 돌아감. 즉 죽음. 타향살이를…
귀굴[鬼窟] 유가(儒家)에서 외도(外道)를 뜻하는 말로, 선가(禪家)를 돌려서 말한 것이다. 귀귀[貴貴] 아랫사람이 신분이 귀한 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제의(祭義)에, 선왕(先王)이…
귀골천골[貴骨賤骨], 귀공[鬼工], 귀공부[歸工部], 귀관[鬼關], 귀괄[龜刮], 귀괴[鬼怪], 귀구자유사[歸求自有師], 귀구지[歸求地]
귀곡[鬼谷] 귀곡은 하남(河南) 등봉현(登封縣)에 있는 골짜기로서 육국시대(六國時代) 종횡가(縱橫家) 소진(蘇秦)・장의(張儀)의 스승 귀곡선생(鬼谷先生)이 살던 곳이다. 귀곡[鬼谷] 전국(戰國) 때, 신선(神仙)이 되었다는 왕후(王詡)의 별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