쓸모가 없기에 오래 산다[無用不夭무용불요, 無何有之鄕무하유지향]<장자/소요유>
혜자(惠子)가 장자(莊子)에게 말하였다. “내가 사는 곳에 사람들이 가죽나무라 부르는 큰 나무가 한 그루 있습니다. 그 나무의 큰 줄기는 온통 혹투성이라서…
혜자(惠子)가 장자(莊子)에게 말하였다. “내가 사는 곳에 사람들이 가죽나무라 부르는 큰 나무가 한 그루 있습니다. 그 나무의 큰 줄기는 온통 혹투성이라서…
상창(常摐)이 병이 나자 노자(老子)가 찾아가 물었다. “선생님의 병이 중하시군요. 우리 여러 제자들에게 남겨주실 만한 가르침이 없으신지요?” 상창이 말하였다. “자네가 물어보지…
어떤 사람이 초(楚)나라의 신하인 황제(黃齊)에게 말하였다. “세간에서는 모두 공(公)과 부지(富摯) 사이가 좋지 않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공께서는 노래자(老萊子)가 공자(孔子)에게 가르쳐준 주군을…
전기(田忌)가 제(齊)나라의 장수가 되어 양(梁: 위魏)나라 태자(太子) 신을 결박하고, 장수 방연(龐涓)을 사로잡았다. 손자(孫子)가 전기에게 말하였다. “장군께서는 큰일을 하고 싶지 않습니까?”…
성후(成侯) 추기(鄒忌)는 제(齊)나라의 재상이었고 전기(田忌)는 제나라의 장군이었는데, 서로 사이가 나빴다. 공손 한(公孫閈)이 추기에게 말하였다. “그대는 어찌하여 제나라의 왕을 위해 위(魏)나라를…
공자(孔子)가 칠조마인(漆雕馬人)에게 물었다. “그대는 장문중(臧文仲)과 장무중(臧武仲), 그리고 유자 용(孺子容) 등 이 세 대부(大夫)를 섬겼는데, 그 가운데 누가 가장 어질다고 보는가?”…
경공(景公)은 여자가 남자처럼 꾸미고 다니는 것을 좋아하였다. 그러자 온 나라 여자들이 유행처럼 그러한 복장을 하고 다녔다. 이에 경공이 너무 심하다고…
제(齊)라가 노(魯)나라만 못한 것은 태공(太公)이 백금(伯禽) 만큼 어질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백금과 태공이 그 봉(封)을 받아 각기 자기의 봉지를 다스린 지…
정곽군(靖郭君)이 식객 제모변(齊貌辨)을 잘 대해 주었다. 제모변은 사람됨이 흠이 많아 문인(門人)들이 좋아하지 않았다. 사위(士尉)가 정곽군에게 간하였으나 정곽군이 들어주지 않자 사위는…
위왕(魏王)이 애첩 용양군(龍陽君)과 배로 낚시질을 갔다. 용양군은 십 여 마리의 물고기를 낚고는 울기 시작하였다. 위왕이 물었다. “무슨 걱정거리가 있느냐? 있다면…
버리느니 사용하는 것이 낫고, 죽느니 버리는 것이 낫다. 버리는 데에만 능하여 잘 사용하지 못하고, 아끼다 죽을 줄은 알면서도 버릴 줄은 모르는 것이 사람들의 큰 과오이다.
천자가 분노하면 죽는 자가 백만에 피가 천리를 흐르고[死者百萬 流血千里], 선비가 분노하면 죽은 시체 둘에, 흐르는 피는 다섯 걸음 안이지만 천하가 상복을 입어야 한다[伏屍二人 流血五步 天下縞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