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거[忘去], 망거목수[網擧目隨], 망건[網巾], 망겸농촉[望兼隴蜀]
망거[望炬], 망거[忘去], 망거목수[網擧目隨], 망거총리공[罔居寵利功], 망건[網巾], 망건장[網巾帳], 망견[妄見], 망겸롱촉[望兼隴蜀]
망거[望炬], 망거[忘去], 망거목수[網擧目隨], 망거총리공[罔居寵利功], 망건[網巾], 망건장[網巾帳], 망견[妄見], 망겸롱촉[望兼隴蜀]
망[望] 제사 이름으로, 국내 산천(山川)·성신(星辰)에 제사 지내는 것을 망(望)이라 한다. 고대에 산천(山川)·일월(日月)·성진(星辰)을 멀리 바라보면서 지내던 제사 이름이다. 천자(天子)는 온 천하의…
말질[末疾], 말천[末薦], 말초[末梢], 말학[末學], 말함[抹檻], 말혈[沫血], 말협[靺鞈], 말후[末後], 말희[妺喜], 말희[末喜], 말희녀언[妺喜女焉], 말희달기[妺喜妲己]
말작[末作] 농업(農業)에 상대하여 상공업(商工業)을 일컫는 말이다. 고대에 농업을 중시해서 상공업을 말작이라 하였다. 주례(周禮) 태재(太宰) 9부(賦)의 소(疏)에 “선왕들은 농업을 근본으로 삼았으므로…
말여지하[末如之何], 말연진충[抹燕盡忠], 말엽[末葉], 말예[末藝], 말우[末虞], 말월[抹月], 말위[靺韋], 말위부주[靺韋跗注], 말유야이[末由也已], 말음[末音], 말음[末蔭], 말의[末擬]
말세[末世], 말세[末勢], 말세이구설치천하[末世以口舌治天下], 말속[末俗], 말속이고 험로난진[末俗易高 險路難盡], 말수호산[靺水胡山], 말실[末失], 말액[抹額], 말언단상[末言短喪], 말업[末業]
말사[末事], 말사[靺師], 말사[末仕], 말살[抹殺], 말살[抹摋], 말선[襪線], 말선단[襪線短], 말선지재[襪線之材]
말반[末班] 지위가 낮은 벼슬아치를 이르던 말. 지위나 계급 따위가 매우 낮은 벼슬아치를 이르던 말. 말법[末法] 불교의 용어로 삼시(三時)의 하나. 부처가…
말릉[秣陵], 말리[末利], 말마고거[秣馬膏車], 말마이병[秣馬利兵], 말망[末望], 말명[末命], 말무[末務], 말묵[沫墨], 말문[末文]
말대[末代], 말대부도[末大不掉], 말대필절[末大必折], 말랍매[末臘梅], 말로[末路], 말로차장근[末路嗟長勤], 말록[末錄], 말루이후이[末僂而後耳], 말루하[抹樓下], 말루하주[抹樓下主], 말류지폐[末流之弊]
말광[末光], 말군[袜裙], 말규[末揆], 말균[末均], 말기[末技], 말년[末年], 말니[末泥], 말단[末端], 말달[妺妲], 말달포려[妺妲褒驪], 말달포서[妺妲褒西]
말갈[靺鞨] 당나라에서 부르던 만주(滿洲) 지방의 별칭으로, 거기에 말갈족, 즉 여진족이 살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불렀다. 대조영(大祖榮)은 속말 말갈(粟末靺鞨)을 이끌고 발해국(渤海國)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