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겸[杜兼], 두경승[杜景升], 두경필중[頭頸必中], 두계[豆溪], 두계량[杜季良], 두계무죄[杜雞無罪]
두겸[杜兼]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으로, 자는 처홍(處弘)으로 경조(京兆) 사람이다. 태종(太宗), 고종(高宗) 때의 재상인 두정륜(杜正倫)의 5세손이다. 두우(杜佑)의 보살핌을 받았다. 덕종(德宗) 건중(建中)…
두견재배[杜鵑再拜], 두견제혈[杜鵑啼血], 두견죽렬[杜鵑竹裂], 두견행[杜鵑行], 두견화[杜鵑花]
두견재배[杜鵑再拜] 두견에 재배(再拜)했다는 것은 곧 두보(杜甫)의 우국충정(憂國衷情)을 말한 것이다. 두보가 일찍이 촉제(蜀帝)의 넋이 두견으로 화(化)했다는 전설에 의거하여 두견행(杜鵑行)이란 시를 지어서,…
두견[杜鵑], 두견곡천진[杜鵑哭天津], 두견상재배[杜鵑尙再拜], 두견입락[杜鵑入洛]
두견[杜鵑] 두견이. 금조(禽鳥)의 하나이다. 두우(杜宇)라고도 하고 자규(子規)라고도 한다. 우는 소리가 매우 처절한데 전설에 의하면, 촉제(蜀帝) 두우(杜宇)가 신하에게 쫓겨나 타향에서 원통하게…
두건[頭巾], 두건[斗建], 두건덕[竇建德]
두건[斗建] 두건(斗建)은 두병(斗柄). 즉 북두칠성의 국자 자루에 해당하는 세 별이 가리키는 방향인데, 이것을 살펴서 갑자를 만들었다고 전한다. 두건[頭巾] 두건은 명청(明淸)…
두개회[豆稭灰], 두갱[豆羹], 두거기[竇車騎], 두거기처[蠧居棋處], 두거지계[杜擧之戒]
두개[杜介], 두개회[豆稭灰], 두갱[豆羹], 두거[杜擧], 두거기[竇車騎], 두거기처[蠧居棋處], 두거지계[杜擧之戒], 두거지기[杜擧之譏]
번성해서는 냉철한 안목을 영락해서는 뜨거운 마음을 <채근담>
바쁘고 떠들썩한 중에도 냉철한 안목을 지니고 있으면 문득 많은 고민할 일을 줄일 수 있고 어렵고 쓸쓸한 처지에서도 뜨거운 마음을 지니고…
인정과 세태는 변하는 것이니 지나치게 믿지 마라 <채근담>
인정과 세태는 빠르고 종잡을 수 없이 변하니 지나치게 참된 것으로 알지 말아야 한다. 요부가 이르기를 “어제 내 것이라던 것이 오늘은…
두간[蠹簡], 두간용광[斗間龍光], 두간의[竇諫議], 두간제식[豆間祭食], 두강[頭綱], 두강주[杜康酒]
두간[蠹簡] 두간(蠹簡)은 좀먹은 죽간이라는 말로, 낡은 책을 의미한다. 두간용광[斗間龍光]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 하늘의 두우(斗牛) 사이에 자기(紫氣)가 뻗치는 것을 보고,…
두가구원[竇家仇怨], 두가종무[杜家宗武], 두각[斗覺], 두각[頭角], 두각참연[頭角嶄然]
두[枓] 구기로, 물이나 술 따위를 푸는 국자 비슷한 도구이다. 두[豆] 예기(禮器). 제기(祭器)의 일종. 신위(神位)의 오른쪽에 국이나 고기·젓 따위의 고기붙이를 담는…
동회[同會], 동회[童恢], 동회백절[東廻百折], 동효[動爻], 동후[董侯], 동훤[冬暄]
동회[東淮] 경기도 양평군 양수리 두물머리 일대의 물 이름이다. 이수(二水)를 말한다. 동회[同會] 함께 회맹(會盟)한 제후(諸侯)를 이른다. <春秋左氏傳 隱公 元年> 동회[童恢] 후한(後漢)…
동황발후[東皇發煦], 동황북제[東皇北帝], 동황청륙[東皇靑陸], 동황태일[東皇太一]
동황발후[東皇發煦], 동황북제[東皇北帝], 동황전각[東皇翦刻], 동황청개소차아[東皇靑盖小車兒], 동황청륙[東皇靑陸], 동황태을[東皇太乙], 동황태일[東皇太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