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거[忘去], 망거목수[網擧目隨], 망건[網巾], 망겸농촉[望兼隴蜀]
망거[望炬], 망거[忘去], 망거목수[網擧目隨], 망거총리공[罔居寵利功], 망건[網巾], 망건장[網巾帳], 망견[妄見], 망겸롱촉[望兼隴蜀]
망거[望炬], 망거[忘去], 망거목수[網擧目隨], 망거총리공[罔居寵利功], 망건[網巾], 망건장[網巾帳], 망견[妄見], 망겸롱촉[望兼隴蜀]
망[望] 제사 이름으로, 국내 산천(山川)·성신(星辰)에 제사 지내는 것을 망(望)이라 한다. 고대에 산천(山川)·일월(日月)·성진(星辰)을 멀리 바라보면서 지내던 제사 이름이다. 천자(天子)는 온 천하의…
말질[末疾], 말천[末薦], 말초[末梢], 말학[末學], 말함[抹檻], 말혈[沫血], 말협[靺鞈], 말후[末後], 말희[妺喜], 말희[末喜], 말희녀언[妺喜女焉], 말희달기[妺喜妲己]
다툼을 화해시킴에 위세로써 거들면 분노한 기세가 저절로 가라앉고 탐욕을 응징함에 욕망으로 구제하면 이욕에 대한 마음이 도리어 담담해진다. 이것이 추세에 따라…
말작[末作] 농업(農業)에 상대하여 상공업(商工業)을 일컫는 말이다. 고대에 농업을 중시해서 상공업을 말작이라 하였다. 주례(周禮) 태재(太宰) 9부(賦)의 소(疏)에 “선왕들은 농업을 근본으로 삼았으므로…
말여지하[末如之何], 말연진충[抹燕盡忠], 말엽[末葉], 말예[末藝], 말우[末虞], 말월[抹月], 말위[靺韋], 말위부주[靺韋跗注], 말유야이[末由也已], 말음[末音], 말음[末蔭], 말의[末擬]
말세[末世], 말세[末勢], 말세이구설치천하[末世以口舌治天下], 말속[末俗], 말속이고 험로난진[末俗易高 險路難盡], 말수호산[靺水胡山], 말실[末失], 말액[抹額], 말언단상[末言短喪], 말업[末業]
천금을 들여 어진이나 호걸과 어울리는 것이 어찌 반 바가지 곡식을 덜어 굶주린 사람을 구제함만 하겠으며 기둥 천개의 화려한 집을 지어…
사람살이에서 편의만을 찾다보면 반드시 천도의 저버림을 받게 되고 세상살이에서 이익만을 탐하다보면 반드시 본성의 손상을 불러오게 된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은 마땅히…
잘못을 깨닫고 고칠 수 있다면 이것이 바로 성인의 무리요 악을 미워함이 너무 심하면 끝내 군자의 병폐가 되고 만다. 知過能改, 便是聖人之徒.…
가슴이 봄바람처럼 따뜻하면 비록 주머니에 돈 한 푼 없을지라도 도리어 어려운 이를 가엾이 여기게 되고 기골이 가을 물처럼 맑으면 설령…
말사[末事], 말사[靺師], 말사[末仕], 말살[抹殺], 말살[抹摋], 말선[襪線], 말선단[襪線短], 말선지재[襪線之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