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막막[君婦莫莫]~군부식노[軍鈇飾怒]~군비자천[群飛刺天]
군부[軍簿], 군부[郡符], 군부막막[君婦莫莫], 군부식노[軍鈇飾怒], 군부인[君夫人], 군분[軍分], 군불견[君不見], 군비자천[群飛刺天]
군부[軍簿], 군부[郡符], 군부막막[君婦莫莫], 군부식노[軍鈇飾怒], 군부인[君夫人], 군분[軍分], 군불견[君不見], 군비자천[群飛刺天]
군보[軍保] 16세에서 59세까지의 병역 의무가 있는 정남(丁男)으로서 정병(正兵)이 아닌 보인(保人)을 가리킨다. 군보[軍保] 조선 시대 군역(軍役)에 복무하지 않는 대신, 정군(正軍)이 현역에…
군민소지[君民素志] 탕(湯)이 사람을 시켜 폐백을 가지고 초빙하자 이윤(伊尹)이 아무런 욕심이 없이 자득(自得)한 모습으로 말하기를 “내 어찌 탕의 폐백을 받으리요. 내…
군목[群牧], 군목[軍木], 군목사[群牧使], 군목판관[群牧判官], 군묘지주[群廟之主], 군무허수[君無虛授], 군문[君門], 군문[軍門], 군문효수[軍門梟首]
군명위초망[君命委草莽] 어떤 상황에서라도 사신으로서 받은 명을 완수하지 못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애공(哀公) 15년에 진후(陳侯)가 오(吳)나라에 공손정자(公孫貞子)를 사신으로 보냈는데,…
군마황[君馬黃], 군마황아마백[君馬黃我馬白], 군망[郡望], 군맹모상[群盲摸象], 군맹무상[群盲撫象], 군맹상평[群盲象評], 군맹평상[群盲評象]
군려[軍旅], 군려서고[軍旅誓誥], 군려지사미지학[軍旅之事未之學], 군령분명수거배[軍令分明數擧杯], 군령태산[軍令泰山], 군뢰[群籟], 군뢰[軍牢], 군뢰선래[軍牢先來], 군룡위용[群龍爲用], 군림[君臨], 군림천하 부유사해[君臨天下 富有四海]
군난탁[君難託], 군대[裙帶], 군대해[裙帶解], 군도[君道], 군동[群動], 군둔[窘遁], 군득신신득군[君得臣臣得君]
군군[郡君], 군군신신[君君臣臣],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 군궁귀[群窮鬼], 군극[裙屐], 군급[宭急], 군기[群機], 군기미[軍器米], 군기시우각[軍器寺牛角], 군기전[軍其前]
군공봉사[軍功奉事], 군관[軍官], 군관신대[君冠臣帶], 군관청[軍官廳], 군교[軍校], 군구[群鷗], 군국[軍國], 군국[郡國], 군국삼로[郡國三老], 군국지사 실이위지[軍國之事 悉以委之], 군국지요[軍國之要]
군[軍], 군[君], 군각[郡閣], 군견폐소괴[羣犬吠所怪], 군경무공[軍竟無功], 군경절축[群輕折軸], 군계[群季], 군계일학[群鷄一鶴]
국화[國華], 국화배[菊花杯], 국화유분수인재[菊花有分隨人在], 국화은일[菊花隱逸], 국화주[菊花酒], 국화추[菊花秋], 국황[菊黃], 국휘[國諱], 국휼[國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