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진두릉시[東津杜陵詩], 동진백운구[東盡白雲求], 동진사[同進士], 동진여회[同塵與灰]
동진두릉시[東津杜陵詩] 두릉(杜陵)은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그의 시에 “면주 땅 부강(涪江) 동쪽 나루터[綿州江水之東津]”로 시작되는 ‘관타어가(觀打魚歌)’와 “고기잡이 구경하러 동진에 다시…
동진두릉시[東津杜陵詩] 두릉(杜陵)은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그의 시에 “면주 땅 부강(涪江) 동쪽 나루터[綿州江水之東津]”로 시작되는 ‘관타어가(觀打魚歌)’와 “고기잡이 구경하러 동진에 다시…
동진[東眞] 만주족(滿州族)이 세운 나라. 금(金) 나라 말엽에 함평로 선무사(咸平路宣撫使) 포선만노(蒲鮮萬奴)가 요동(遼東)을 점거하여 세운 나라이다. 만노는 금이 쇠약하고 몽고가 일어나자 금에…
동지어[同池魚], 동지일양[冬至一陽], 동지일양생[冬至一陽生], 동지전[冬至箋], 동지전문차사원[冬至箋文差使員], 동지제시조[冬至祭始祖],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동지헌말[冬至獻襪]
동지공거[同知貢擧], 동지공장리[冬至公狀吏], 동지당안상[動止當安詳], 동지력[冬至曆], 동지망궐례[冬至望闕禮], 동지발[銅指鈸], 동지번청[董之繁菁], 동지사[同知事], 동지사[冬至使], 동지산[冬只山], 동지양생춘우래[冬至陽生春又來]
동지[冬至] 24절기 중 하나. 12월 하순에 드는 날로 한 해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이며, 고대에는 동짓날이…
동중서하옥당주[董仲舒下獄當誅], 동중천[洞中天], 동중화[洞中花], 동즉관기변[動則觀其變], 동즉득의[動則得矣], 동즉무호야 화즉무상야[同則無好也 化則無常也], 동즉착별[冬則擉鼈]
동죽[銅竹] 동인죽부(銅印竹符)의 줄임말로, 수령이 되어 황동과 대나무로 만든 인부를 참을 이른다. 동죽[銅竹] 동죽(銅竹)은 동호부(銅虎符)와 죽사부(竹使符)로, 한 지방을 맡아 다스리는 관원에게…
동주우풍[同舟遇風], 동주의[東周意], 동주장군[銅柱將軍], 동주저공[同州褚公], 동주제강[同舟濟江], 동주지지[東周之志], 동주표[銅柱標], 동주하규[同州下邽]
동주금경[銅柱金莖], 동주낙형[銅柱烙刑], 동주마형잉도지[銅柱磨瑩仍塗脂], 동주무복억노어[東走無復憶鱸魚], 동주상구[同舟相救], 동주서분[東走西奔], 동주서주[東住西住], 동주성[洞州城]
동주[同裯] 이불을 같이 덮고 자는 것으로, 매우 친밀하게 대함을 뜻한다. 이세민이 조정에 나가 공무를 보는 여가에 문학관에 가서 십팔학사(十八學士)들과 학문을…
동주[東州] 강원도 철원(鐵原)의 옛 명칭이다. 본래는 고구려 철원군(鐵圓郡)이다. 신라의 경덕왕(景德王)이 철성군(鐵城郡)이라고 고쳤다. 뒤에 궁예(弓裔)가 군사를 일으켜 고구려의 옛 땅을 침략해…
동조공관[同條共貫], 동조구[董糟丘], 동조동근[同祖同根], 동조상조[同朝相吊], 동조서도[東棗西桃], 동조증불망[同調贈不忘], 동족방뇨[凍足放尿], 동족상잔[同族相殘], 동종향[東終鄕], 동종향[東從享], 동좌문도[同坐文道], 동죄공폐[同罪共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