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폭동[萬瀑洞], 만품[萬品], 만풍단우[蠻風蜑雨], 만필[晩筆], 만필[漫筆]
만폭[萬瀑], 만폭동[萬瀑洞], 만품[萬品], 만풍[晩風], 만풍단우[蠻風蜑雨], 만풍여단우[蠻風與蜑雨], 만풍정[晩風亭], 만필[晩筆], 만필[漫筆]
만폭[萬瀑], 만폭동[萬瀑洞], 만품[萬品], 만풍[晩風], 만풍단우[蠻風蜑雨], 만풍여단우[蠻風與蜑雨], 만풍정[晩風亭], 만필[晩筆], 만필[漫筆]
만평[萬坪] 만평은 점고만평(點考萬坪)의 줄임말이다. 안정복(安鼎福)이 성호(星湖)에게 보낸 편지에 “옛날 처음 서울에 들어갈 때 길이 삼전포(三田浦)의 큰 들판을 지났는데 점고만평(點考萬坪)이라는 곳이었습니다.…
만타[曼陀], 만탄[漫誕], 만파식[萬波息], 만파식곡[萬波息曲], 만파식적[萬波息笛], 만패[晚牌], 만패불청[萬覇不聽]
만촌[晩村], 만추가경[晩秋佳景], 만추등갑[蠻酋籐甲], 만축아첨[萬軸牙籤], 만춘[萬春], 만춘절[萬春節], 만취[晩翠], 만취[晩吹], 만취선종[晩就善終], 만치[萬雉]
만촉[蠻觸], 만촉교쟁[蠻觸交爭], 만촉교쟁와각중[蠻觸交爭蝸角中], 만촉국[蠻觸國], 만촉료[蠻觸鬧], 만촉분나[蠻觸紛拏], 만촉분쟁[蠻觸紛爭], 만촉상쟁[蠻觸相爭], 만촉쟁와[蠻觸爭蝸], 만촉전[蠻觸戰], 만촉지쟁[蠻觸之爭]
만초[蔓草], 만초몽명[滿楚夢明], 만초손겸수익[滿招損謙受益], 만초유불가제[蔓草猶不可除], 만초한연[蔓草寒煙]
만천인[曼倩仁], 만천투도[曼倩偸桃], 만첩청산[萬疊靑山], 만청[晩晴], 만청부[晩晴賦], 만청자[蔓菁子], 만청전[萬靑錢]
만천명월[萬川明月] 만천(萬川)을 비추는 달빛. 정조(正祖)의 넓은 통치력을 말한다. 정조는 말년에 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이라고 자호(自號)하였는데 그 서(序)에서 “달은 하나뿐이고 물의 종류는 1만 개나…
만차악주[晩次鄂州], 만창[滿脹], 만천[萬川], 만천[曼倩], 만천귀지[萬川歸之], 만천급자[曼倩汲子]
만즉일[滿則溢], 만지[晩知], 만지[晩枝], 만지[蠻紙], 만지[滿志], 만지[萬指], 만지장서[滿紙長書], 만질[蔓瓞]
만주[晩周], 만주[萬州], 만주[蠻洲], 만주[滿住], 만주[灣州] 만주장경[滿州章京], 만주천자[滿洲天子], 만중운[萬重雲], 만중청전선[萬中靑錢選]
만조[萬竈], 만조락향설[挽條落香雪], 만조백관[滿朝百官], 만조한옥[萬條寒玉], 만종[萬種], 만종[挽從], 만종경[萬鍾卿], 만종록[萬鍾祿], 만종봉록[萬鍾祿俸], 만종불변수[萬鍾不辨受], 만종지록[萬鍾之祿], 만종팔추[萬鍾八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