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瑪竇], 마두[馬頭], 마두[麻豆], 마두[馬竇], 마두각[馬頭角], 마두견[磨兜堅]
마두[瑪竇] 곧 이마두(利馬竇)로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한역명(漢譯名)이다. 이탈리아 제수이트파(派)의 선교사로, 1587년 남경(南京)에 들어가 당시 명(明) 나라의 고관·명사들에게 천문(天文)·지리(地理)·수학(數學)을 가르쳤고 그…
마두[瑪竇] 곧 이마두(利馬竇)로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한역명(漢譯名)이다. 이탈리아 제수이트파(派)의 선교사로, 1587년 남경(南京)에 들어가 당시 명(明) 나라의 고관·명사들에게 천문(天文)·지리(地理)·수학(數學)을 가르쳤고 그…
마도십만[磨刀十萬], 마도오열수[磨刀嗚咽水], 마도표왜[馬島漂倭], 마도협영[馬刀挾癭], 마동[馬棟], 마동겸복[麻同兼服], 마동유[麻董劉], 마동즉겸복[麻同則兼服]
마도[馬島] 대마도(對馬島)의 약칭이다. 마도[馬刀] 말조개. Solen gouldii. 엉기어 있는 것을 흩어지게 하고 가래를 삭이며 임병(淋病)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마도[馬圖] …
마다천하[馬多天下] 한유(韓愈)의 송온처사부하양군서(送溫處士赴河陽軍序) 첫 대목에 “대저 기주(冀州) 북쪽은 천하에서 가장 많이 말이 생산되는 곳이다.[夫冀北馬多天下]”라는 구절이 나온다. 마단림[馬端臨] 송말(宋末)·원초(元初)의 학자. 송나라…
마노[瑪瑙] 석영질의 보석(寶石). 석영(石英)의 일종으로 빛깔이 아름다워 장식품으로 사용된다. 원석의 모양이 말의 뇌수를 닮았다고 하여 마노(瑪瑙)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마노는 수정류와…
마귀[麻貴], 마귀여[馬貴與], 마근[馬筋], 마금[馬禁], 마기알골[磨肌戞骨], 마난[磨難], 마남도[馬南渡], 마납[磨衲], 마녈[磨涅]
마구[麻屨], 마군[魔軍], 마군[馬軍], 마군공[馬群空], 마군수공[馬群遂空], 마군중도[馬君仲塗], 마궁[馬宮], 마권자[馬圈子], 마권찰장[磨拳擦掌]
마과[馬撾] 마과(馬撾)는 말채찍으로 馬檛(마과)라고도 쓴다. 원교(袁郊)의 감택요(甘澤謠) 홍선(紅線)에 “사신이 말채찍으로 문을 두드렸으나 만날 수 있는 때가 아니었다.[使者以馬撾扣門, 非時請見.]”라고 하였다. 마과[馬窠] …
마곡[麻谷], 마곡사[麻谷寺], 마곡역[磨谷驛], 마곡철선사[麻谷徹禪師], 마골[馬骨], 마골구방인[馬骨九方歅], 마골지[麻骨紙], 마공[馬公], 마공귀[麻公貴], 마공기북[馬空冀北], 마공신[馬功臣]
마고신선[麻姑神仙], 마고양소[麻姑痒搔], 마고양파[麻姑癢爬], 마고조[麻姑爪], 마고주[麻姑酒], 마고파배[麻姑爬背], 마고파양[麻姑爬癢], 마고해상행[麻姑海上行], 마고호파[麻姑好爬]
마고[馬賈], 마고[麻誥], 마고[麻姑], 마고관해[麻姑觀海], 마고령[麻姑嶺], 마고산[麻姑山], 마고선녀[麻姑仙女], 마고선자[麻姑仙子], 마고소[麻姑搔], 마고소배[麻姑搔背], 마고소양[麻姑搔痒], 마고소파[麻姑搔爬]
마계[馬契] 말을 세 주는 것을 업으로 하는 계를 이른다. 마계도가[馬契都家] 마계(馬契)는 말을 세주는 일로 업을 삼는 계. 도가(都家)는 동업자들이 모여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