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야불평명[東野不平鳴], 동야실자[東野失子], 동야연구[東野聯句], 동야음[冬夜吟], 동야직[東野稷]
동야불평명[東野不平鳴], 동야실자[東野失子], 동야연구[東野聯句], 동야운룡지호[東野雲龍之好], 동야음[冬夜吟], 동야지어[東野之語], 동야직[東野稷]
동야불평명[東野不平鳴], 동야실자[東野失子], 동야연구[東野聯句], 동야운룡지호[東野雲龍之好], 동야음[冬夜吟], 동야지어[東野之語], 동야직[東野稷]
동야거빈가구소[東野居貧家具少], 동야고심[東野古心], 동야고음[東野苦吟], 동야낭선[東野浪仙], 동야루천[東野淚泉], 동야명[東野鳴], 동야명현천[東野命懸天]
동암[東庵], 동애[童騃], 동액[東掖], 동액문[東掖門], 동액원[東掖垣], 동액작무[銅額作霧], 동야[東野], 동야[東冶]
동안종야청[同安鍾夜聽], 동안청종[同安聽鐘], 동안풍[董安豐], 동안현[同安縣], 동안현리종성단[同安縣裏鐘聲斷], 동알안우[董閼安于], 동알우[董閼宇]
동안상찰[同安常察] 당말송초(唐末宋初)의 선승. 그가 지은 십현담(十玄談)은 선종사부록(禪宗四部錄)의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십현담(十玄談)은 안찰(安察)이 지은 10수(首)의 게송으로 심인(心印)·조의(祖意)·현기(玄機)·진이(塵異)·연교(演敎)·달본(達本)·환원(還源)·회기(廻機)·전위(轉位)·일색(一色)이다. 동안석담[同安石潭] 동안(同安)과 석담(石潭).…
동안[同安] 동안현(同安縣)이다. 1153년~1157년까지 주희(朱熹)가 복건성(福建城) 동안현에 주부(主簿)로 재임할 때 그 고을에서 학문을 일으키고 인재를 교육하였다. 훌륭한 선생을 확보하고, 대도독부에 간청하여…
동악[動樂], 동악[東嶽], 동악[東岳], 동악대부[東嶽大夫], 동악묘[東岳廟], 동악묘[東嶽廟], 동악산[動樂山], 동악상제[同惡相濟], 동악상조[同惡相助], 동악성제[東嶽聖帝], 동악신묘[東嶽神廟]
동아[東阿], 동아[凍餓], 동아만유우생척[東阿謾有憂生戚], 동아망개[童阿亡介], 동아부자 엽피남무[同我婦子 饁彼南畝], 동아소명[東阿昭明], 동아왕[東阿王]
동심인성 증익불능[動心忍性 增益不能], 동심인성[動心忍性], 동심지언[同心之言], 동심지언기취여란[同心之言其臭如蘭], 동심합력[同心合力], 동심협력[同心協力], 동심협찬[同心協贊], 동심화[同心花], 동심화의라 산첩수성유[洞深花意懶 山疊水聲幽], 동쌍성[董雙成], 동씨[董氏], 동씨유[董氏帷]
동심동덕[同心同德], 동심동력[同心同力], 동심루[同心縷], 동심육력[同心戮力], 동심리[同心利], 동심보정[同心輔政], 동심설[童心說], 동심익대[同心翼戴], 동심인성 익기불능[動心忍性 益其不能]
동식[動息], 동식서숙[東食西宿], 동식소양[動息所養], 동식하졸[同食下卒], 동실거생[同室居生], 동실교의[同室交誼], 동실내식[同室內息], 동심[同心], 동심[童心], 동심결[同心結], 동심금란[同心金蘭], 동심단금[同心斷金]
동시의관[東市衣冠], 동시이종[同始異終], 동시일박[東市日迫], 동시지어서시[東施之於西施], 동시지참[東市之斬], 동시지효서시빈[東施之效西施顰], 동시추[東施醜], 동시향동종향[東始鄕東終鄕], 동시효빈[東施效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