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류삼협수[倒流三峽水]~도류이불명거[道流而不明居]~도륜[陶輪]
도류삼협[倒流三峽], 도류삼협수[倒流三峽水], 도류이불명거 득행이불명처[道流而不明居 得行而不名處], 도륜[道倫], 도륜[陶輪], 도륭[屠隆]
도류삼협[倒流三峽], 도류삼협수[倒流三峽水], 도류이불명거 득행이불명처[道流而不明居 得行而不名處], 도륜[道倫], 도륜[陶輪], 도륭[屠隆]
도류[桃柳] 도류(桃柳)는 한유(韓愈)의 애첩이었던 강도(絳桃)와 유지(柳枝)를 합칭한 말이다. 당어림(唐語林)에 의하면, 한유에게 강도와 유지 두 애첩이 있어 모두 가무를 잘했는데, 뒤에…
도료[荼蓼], 도료장[都料匠], 도료장군[度遼將軍], 도룡[屠龍], 도룡기[屠龍技], 도룡무용[屠龍無用], 도룡수[屠龍手], 도룡예[屠龍譽], 도룡지기[屠龍之技]
도록[道籙] 도가(道家)에서 미래(未來)의 길흉을 예언(豫言)하여 기록한 문서. 도참(圖讖)을 기록한 도가(道家)의 책이다. 오천문록(五千文籙), 삼동록(三洞籙), 동현록(洞玄籙), 상청록(上淸籙) 등이 있다. 천상에 있는 조정…
도로[都盧] 서역(西域)에 있는 나라 이름인데, 그곳 사람들은 몸이 가벼워 나무를 잘 타므로, 도로국(都盧國) 사람들은 특히 솟대타기의 일종인 도로심장(都盧尋橦)이라는 곡예를 잘하였다고…
도령무[陶令畝], 도령문전오[陶令門前五], 도령병[陶令病], 도령부[陶令賦], 도령삼경[陶令三徑], 도령여사[陶令廬社], 도령일일취 부지오류춘[陶令日日醉 不知五柳春]
도렬발제[桃茢袚除] 도(桃)는 복숭아나무 가지이고, 렬(茢)은 갈대를 엮어 만든 비이다. 발제(袚除)는 사악한 기운을 떨어냄이다. 예기(禮記) 단궁 하(檀弓下)에 “임금이 신하의 상(喪)에 임할…
도려[陶廬] 도잠(陶潛)의 초려(草廬). 진(晉)나라의 은사인 도연명(陶淵明)의 집을 이른다. 도연명이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가면서 지은 귀거래사(歸去來辭)에 “돌아가자! 전원(田園)이 장차 황폐하려 하니,…
도량[道場] 불가에서 좌선(坐禪)·염불·수계(授戒) 등을 말함. 범어로 bodhimadau라고 함. 도량[道場] 불도(佛道)를 닦는 곳. 불교(佛敎) 사원(寺院)의 별칭. 불도에 관계되는 온갖 일을 하는…
도래[到來] 도착함. ‘來’는 동사의 어미에 붙여, 그 동작이 화제의 중심으로 다가가는 것을 나타낸다. 목적어가 있을 때에는 목적어를 가운데 끼워 넣어…
도라[兜羅] 초목(草木)의 화서(花絮)를 일컫는 말. 산스크리트어 tūla의 음사. 버드나뭇과의 꽃에 붙어 있는 가늘고 보드라운 솜털. 도라면[兜羅綿] 목면(木綿)의 일종이다. 도라는 범어…
도두소식[到頭蘇息], 도두원월[刀頭怨月], 도두합득소식부[到頭合得蘇息否], 도두환[刀頭環],도둔부득[逃遁不得], 도득[到得], 도등[挑燈], 도등위기[挑燈圍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