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묘[豆苗], 두무[頭無], 두무[兠鍪], 두무[竇武]
두묘[豆苗] 콩 싹. 도연명(陶淵明)의 시 귀전원거(歸田園居)에 “남산 아래에 콩 심으니, 풀은 무성하고 콩 싹은 드문드문. 새벽에 일어나 잡초 김매고, 달빛…
두묘[豆苗] 콩 싹. 도연명(陶淵明)의 시 귀전원거(歸田園居)에 “남산 아래에 콩 심으니, 풀은 무성하고 콩 싹은 드문드문. 새벽에 일어나 잡초 김매고, 달빛…
두목지[杜牧之] 목지(牧之)는 당(唐) 나라 때 명신(名臣)인 두목(杜牧)의 자(字)이다. 당나라 경조(京兆) 사람이며 만당(晩唐)의 시인(詩人)으로 이름은 목(牧), 호는 번천(樊川)이다. 시부(詩賦)에 능(能)하고 풍류(風流)와…
두목심방지[杜牧尋芳遲] 주지(周墀)는 두목(杜牧)의 친구였는데, 다른 이가 재상으로 있을 적에는 두목이 호주자사(湖州刺史)의 임명을 받지 못했다가, 마침내 주지가 재상이 되자 곧바로 호주…
두목[杜牧] 만당(晩唐)의 문장가이자 시인으로 자(字)는 목지(牧之), 호는 번천(樊川), 경조(京兆) 만년(萬年: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의 사족(士族) 출신이다. 고시(古詩)는 두보(杜甫)와 한유(韓愈)의 영향을 받아…
두모[豆毛] 두멍. 물을 담아 놓고 쓰는 큰 가마나 독이다. 두모[寶母] 보모(寶母). 보배의 이름이다. 상이기(詳異記)에 “위생(魏生)이 예쁘게 생긴 돌 하나를 얻었는데,…
두마[竇馬], 두막루[豆莫婁], 두막부[杜幕府], 두만[頭曼], 두만강[豆滿江], 두망비[杜妄轡], 두망비어교단[杜妄轡於郊端], 두면[豆麪], 두명독[竇鳴犢]
두리[肚裏], 두리[兜離], 두리목[豆里木], 두림[杜林], 두림시방[斗臨時方], 두림주[豆淋酒], 두림칠서[杜林漆書], 두림칠서수굉순[杜林漆序授宏巡]
두릉추흥팔수[杜陵秋興八首], 두릉치자[杜陵梔子], 두릉태수[杜陵太瘦], 두릉팔애[杜陵八哀], 두릉포의[杜陵布衣], 두릉현인[杜陵賢人], 두릉화죽[杜陵花竹], 두릉희직설[杜陵希稷卨]
두릉노[杜陵老], 두릉노인[杜陵老人], 두릉대아[杜陵大雅], 두릉대아질소사[杜陵大雅軼騷些], 두릉수[杜陵愁], 두릉야객[杜陵野客], 두릉야로[杜陵野老], 두릉옹[杜陵翁], 두릉운자[杜陵雲子], 두릉인[杜陵人], 두릉증식노장군[杜陵曾識老將軍]
두릉[杜陵] 두릉(杜陵)은 당(唐)나라의 문인인 두보(杜甫) 일족이 세거(世居)하던 곳으로 곧 두보를 가리킨다. 그의 조상이 두릉에 살았고 자신도 두릉 부근에 살았기에 두릉야로(杜陵野老),…
두록[斗祿], 두록경[頭鹿剠], 두룡포[頭龍浦], 두루[竇屢], 두루[兜樓], 두류[逗遛], 두류[頭流], 두류부진[逗留不進], 두류산[頭流山], 두류암문[頭流巖門], 두류죄[逗遛罪], 두륜산[頭輪山]
두로기재[杜老奇才], 두로사군의[杜老思君意], 두로서경시[杜老徐卿詩], 두로성야[杜老成野], 두로음시수[杜老吟詩瘦], 두로추잠태임빈[杜老抽簪太恁頻], 두로행장[杜老行藏], 두로혁전[豆盧革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