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후중[陶垕仲], 도훈제후[導訓諸侯], 도휴[稻畦], 도흔[刀痕], 도흡[到洽]
도후무문[陶後無聞] 송(宋)나라 주돈이(周惇頤)의 애련설(愛蓮說)에 “아, 국화를 사랑한 이가 도연명 이후로 또 있었다는 말은 거의 듣지 못하였다.[噫 菊之愛 陶後鮮有聞]”라는 말에서 온…
도후무문[陶後無聞] 송(宋)나라 주돈이(周惇頤)의 애련설(愛蓮說)에 “아, 국화를 사랑한 이가 도연명 이후로 또 있었다는 말은 거의 듣지 못하였다.[噫 菊之愛 陶後鮮有聞]”라는 말에서 온…
도회[都會] 계회(契會)·종회(宗會)·유림(儒林) 회합 등의 총칭이다. 도회[都會] 공도회(公都會)로, 조선 시대 때 각 도의 감사(監司)와 각 부(府)의 유수(留守)들이 지방의 유생들에게 학업을 장려하기…
도환[跳丸] 도환(跳丸)은 고대에 행해진 백희(百戱) 중 하나로 광대가 두 손을 빠르게 놀려 연속으로 여러 개의 공을 던지고 받는 재주이다. 해와…
도화유수[桃花流水], 도화유수궐어비[桃花流水鱖魚肥], 도화의구소동풍[桃花依舊笑東風], 도화준마[桃花駿馬], 도화질발[桃花叱撥], 도화형상 배식현사[圖畫形象 配食縣社]
도화수[桃花水], 도화설수[桃花雪水], 도화수창[桃花水漲], 도화암[桃花岩], 도화우[桃花雨], 도화원[桃花源], 도화원기[桃花源記], 도화원수[桃花源水]
도화마[桃花馬], 도화만현[桃花滿縣], 도화미[桃花米], 도화부인[桃花夫人], 도화선[桃花扇], 도화세우[桃花細雨]
도화동[桃花洞] 홍대용(洪大容)의 담헌서(湛軒書) 외집 권9의 연기(燕記)에 의하면, 의무려산(醫巫閭山)의 남쪽 한 굽이를 도화동(桃花洞)이라고 하는데, 그 전에 1천 그루의 복숭아꽃이 있어 그…
도화[圖畫] 도화(圖畫)는 그림처럼 장엄하고 수려한 산하를 비유한다. 송(宋)나라 소식(蘇軾)의 시 울고대(鬱孤臺)에 “경내에 들어가 도화를 보니, 울고대가 예전에 노닐던 곳 같구나.…
도혼식[陶婚式] 도자기혼식(陶磁器婚式). 결혼(結婚) 기념식(記念式)의 하나. 혼인(婚姻)한 지 20주년이 되는 날을 축하(祝賀)하여 부부(夫婦)가 사기(沙器) 제품(製品)을 선물(膳物)로 주고받아 기념(記念)한다. 도홍[陶泓] 도홍(陶泓)은 벼루의…
도호[都護], 도호[桃弧], 도호[逃戶], 도호[倒壺], 도호극시[桃弧棘矢], 도호대방 기생가락 기사가장[蹈乎大方 其生可樂 其死可葬], 도호별초[都護別抄], 도호부[都護府], 도호부사[都護府使]
도혜[桃蹊] 도리성혜(桃李成蹊)의 준말로, 말 없는 가운데 그 충심(衷心)이 드러나 사람들이 감복하는 것을 이른다. 사기(史記) 권109 이장군열전(李將軍列傳) 찬(贊)에 “복사꽃과 오얏꽃이 말을…
도협[倒峽] 도협(倒峽)은 골짜기에 쏟아져 흐르는 물처럼 거침없는 문장을 말한다. 송(宋)나라 구양철(歐陽澈)의 세필화수인계운이증지(世弼和酬因繼韻以贈之)에 “가슴 속 기염은 하늘의 별에 닿고 붓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