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내옹[馬上乃翁], 마상득구위[馬上得九圍], 마상득지[馬上得之], 마상백[馬相伯]
마상내옹[馬上乃翁], 마상득구위[馬上得九圍], 마상득지 영가이마상치지[馬上得之 寧可以馬上治之], 마상득지[馬上得之], 마상백[馬相伯]
마상내옹[馬上乃翁], 마상득구위[馬上得九圍], 마상득지 영가이마상치지[馬上得之 寧可以馬上治之], 마상득지[馬上得之], 마상백[馬相伯]
마상[馬常] 뛰어난 여러 아들을 뜻한다. 마량(馬良)의 오 형제 중 맏이인 마량이 가장 저명하였는데, 그의 눈썹이 희었으므로 사람들이 “마씨(馬氏) 오 형제[五常]…
마사유전[馬史流傳], 마사제[馬社祭], 마사환기주[麻思還冀州], 마산[摩山], 마산[馬山], 마산[磨山], 마산포[馬山浦], 마삼[馬森], 마삼근[麻三斤], 마삼근건시궐[麻三斤乾屎橛], 마삼대[馬三代]
마사[馬史], 마사[摩挲], 마사[馬社], 마사단[馬社壇], 마사도[馬司徒], 마사동적[摩挲銅狄], 마사서사[麻沙書肆], 마사영[馬士英], 마사영완대성[馬士英阮大鋮]
마복편[馬腹鞭], 마봉[麻蓬], 마부계[馬夫契], 마부대[馬夫大], 마부위침[磨斧爲針], 마부작침[磨斧作針], 마불가어채[麻不加於采], 마불린[磨不磷], 마불식곡[馬不食穀], 마빈[磨牝]
마복파[馬伏波], 마복파견비연타수[馬伏波見飛鳶墮水], 마복파계형자서[馬伏波戒兄子書], 마복파누사덕[馬伏波婁師德], 마복파동주[馬伏波銅柱], 마복파두계량[馬伏波杜季良], 마복파의이[馬伏波薏苡], 마복파정법시비[馬伏波政法是非]
마보[馬步], 마보군도부서[馬步軍都部署], 마보단[馬步壇], 마보사[馬步射], 마복[馬服], 마복군[馬服君], 마복서[馬服書], 마복자[馬服子], 마복지자[馬服之子], 마복탑[馬福塔]
마미군[馬尾裙], 마미두면[馬尾頭冕], 마미사[馬尾篩], 마반[馬班], 마반양사[馬班兩史], 반마훈향[班馬薰香], 마발[馬勃], 마발[馬撥], 마발영[馬發塋], 마방[磨房], 마방[馬防], 마방[馬房], 마방음식[馬防陰識], 마법[馬法], 마벽[馬癖], 마병[馬兵]
마목[馬木], 마목[麻木], 마목군[馬木軍], 마목증[麻木症], 마목지증[麻木之症], 마무[馬武], 마묵[馬黙], 마문[麻絻], 마문[馬文], 마문승[馬文升], 마문식[馬文式], 마문연[馬文淵]
마멱[馬羃] 말에게 먹이를 줄 때 사용하는 멱서리 종류. 멱서리는 짚으로 날을 촘촘히 결어서 만든 그릇의 하나. 주로 곡식을 담는 데…
마리장신장악장잠[馬彞將愼將鍔將潛] 한유(韓愈) 조성왕비(曹成王碑)에 “백성을 다스리고 군대를 부리는 데에 각각 조리와 차서(次序)가 있으니, 세상에서는 이것을 전하여 본보기로 삼았다. 그가 임용한 마이(馬彞)와…
마릉[馬陵], 마릉기[馬陵奇], 마릉방연지금[馬陵龎涓之擒], 마릉복노[馬陵伏弩], 마릉서[馬陵書], 마릉손방지상박[馬陵孫龐之相迫], 마릉지난[馬陵之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