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엄[竇儼], 두엄달이[頭掩達伊], 두여칭모[斗餘稱耗], 두여회[杜如晦]
두엄[竇儼] 송(宋)의 어양(漁陽) 사람으로 자는 망지(望之)이다. 오대(五代)부터 북송 때까지 활약한 관료이다. 후진(後晉)에서 진사(進士)가 되었다. 송초(宋初)에 예부시랑(禮部侍郞)으로서 국가 의례를 주관하였다. 재주가…
두엄[竇儼] 송(宋)의 어양(漁陽) 사람으로 자는 망지(望之)이다. 오대(五代)부터 북송 때까지 활약한 관료이다. 후진(後晉)에서 진사(進士)가 되었다. 송초(宋初)에 예부시랑(禮部侍郞)으로서 국가 의례를 주관하였다. 재주가…
이 몸이 태어나기 전에는 어떤 모양이었을까 생각해 보고 또, 이 몸이 죽은 뒤에는 어떤 모습이 될까 생각해 보라. 그러면 모든…
그윽한 이의 맑은 흥취는 자적함에 있으니 술은 권하지 않음을 기쁨으로 여기고 바둑은 다투지 않음을 이김으로 삼으며 피리는 구멍이 없음을 마땅하게…
두압[杜鴨], 두약[杜若], 두약주[杜若洲], 두양[竇梁], 두양[杜陽], 두양소근[頭瘍搔跟], 두어[頭御], 두어[蠹魚], 두어연[頭魚宴], 두어오[蠹魚惡]
두씨[竇氏] 옛날에 과국(過國)의 요(澆)가 짐관(斟灌)을 죽이고서 짐심(斟鄩)을 공격하여 하후(夏后: 하夏나라 임금) 상(相)을 멸망시켰다. 이때 하후(夏后) 상(相)의 아내 후민(后緡)이 임신 중이었는데…
두식[斗食] 세록(歲祿)이 1백 석이 안 되는 하급 관리를 이른다. 두식좌사[斗食佐史] 봉록이 적은 낮은 관리를 이른다. 한서(漢書) 명질부(名秩簿)에 “두식(斗食)은 월봉(月俸)이 11곡(斛)이고,…
이치가 고요하면 사상도 고요하니 사상을 버리고 이치에 집착하는 것은 그림자를 버리고 형체만 남겨 두는 것과 같다. 마음이 공하면 경계도 공하니…
문장은 질박함으로써 진보하고 도는 순박함으로서 이루어지나니 졸(拙)자 한 자에 무한한 뜻이 깃들어 있다. ‘도원에서 개가 짖고 뽕밭에서 닭이 운다’고 하면…
두시[杜詩], 두시[豆豉], 두시견학귀[杜詩譴瘧鬼], 두시구학[杜詩驅瘧], 두시구학려[杜詩驅瘧癘], 두시벽[杜詩癖], 두시어[竇侍御], 두시육률[杜詩陸律], 두시정오[杜詩正誤]
두숙[豆菽], 두숙고[杜叔高, 두숙향[竇叔向], 두순[杜順], 두순법계관[杜順法界觀], 두순압[杜荀鴨], 두순학[杜荀鶴], 두습유[杜拾遺], 두승[斗升], 두승지수[斗升之水]
두수[抖擻], 두수[斗數], 두수[斗宿], 두수[頭], 두수삼년적[杜叟三年笛], 두수여점부[斗水如霑鮒], 두수위백[頭鬚爲白], 두수전진[抖數前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