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분다행[萬分多幸], 만분외풍[滿奮畏風], 만불경심[漫不經心], 만불근리[萬不近理]
만분다행[萬分多幸], 만분력[萬分曆], 만분렴개 불과소선[萬分廉介 不過小善], 만분외풍[滿奮畏風], 만분위중[萬分危重], 만분지일[萬分之一], 만불경심[漫不經心], 만불괘일[萬不掛一], 만불근리[萬不近理], 만불루[萬佛樓]
만분다행[萬分多幸], 만분력[萬分曆], 만분렴개 불과소선[萬分廉介 不過小善], 만분외풍[滿奮畏風], 만분위중[萬分危重], 만분지일[萬分之一], 만불경심[漫不經心], 만불괘일[萬不掛一], 만불근리[萬不近理], 만불루[萬佛樓]
만부[曼膚], 만부[灣府], 만부갑[萬夫甲], 만부다한[慢膚多汗], 만부득이[萬不得已], 만부부당[萬夫不當], 만부부당지용[萬夫不當之勇], 만부웅[萬夫雄], 만부지망[萬夫之望], 만부지장[萬夫之長], 만부참군[蠻府參軍]
자손이 안일에 빠지도록 내버려 두면 후에 반드시 주색에 빠져 가문을 망치게 되고 자손에게 이익만을 추구하도록 가르치면 후에 반드시 재물을 다투어…
선한 일을 하면 상서로운 일이 생기고 선하지 않은 일을 하면 재앙이 내리니 세상이 이미 천당과 지옥으로 나뉘었음을 알 수 있고…
만보상[萬寶常], 만보성[萬寶成], 만보전[萬寶殿], 만복[萬福], 만복[蠻服], 만복경륜[滿腹經綸], 만복사괘서[萬福寺掛書], 만복유시[萬福攸始], 만복지원[萬福之原]
만법[萬法], 만법귀일[萬法歸一], 만법일법통[萬法一法通], 만법일여[萬法一如], 만벽서화[滿壁書畵], 만변불궁[萬變不窮], 만병통치[萬病通治], 만병환[萬病丸], 만병회춘[萬病回春], 만보[瞞報], 만보[萬寶], 만보[曼父]
만방위헌[萬邦爲憲], 만방유죄[萬方有罪], 만방이정[萬邦以貞], 만방절등[萬邦絶等], 만방지군위독부[萬邦之君爲獨夫], 만방지방 하민지왕[萬邦之方 下民之王], 만방함녕[萬邦咸寧], 만방형서[蠻方荊舒], 만백[曼伯], 만번한[滿潘汗]
만반[萬般], 만반마유[滿盤馬乳], 만반당육[晩飯當肉], 만반진수[滿盤珍羞], 만반한[滿潘汗], 만발[灣撥], 만발공양[萬鉢供養], 만방[萬方], 만방려헌 공유제신[萬邦黎獻 共惟帝臣], 만방성일개[萬方聲一槪], 만방시옹[萬邦時雍]
일을 처리함에는 정해진 기준이 없으나 마음에 꺼림칙함이 없도록 해야만 하고 사업을 일으킴에는 그 규모에 상관없이 반드시 자신이 이뤄낼 수 있어야만…
만물필동필이 차지위대동이[萬物畢同畢異 此之謂大同異], 만물필라 막족이귀[萬物畢羅 莫足以歸], 만물함도[萬物咸覩], 만물화작[萬物化作], 만물흔도[萬物欣覩], 만미[蠻羋], 만민소망[萬民所望], 만민영[萬民英]
만물지역려[萬物之逆旅], 만물지영장[萬物之靈長], 만물지일원[萬物之一源], 만물지장[萬物之長], 만물지종[萬物之宗], 만물지중[萬物之衆], 만물지화[萬物之化], 만물직직[萬物職職], 만물진연[萬物盡然], 만물통체일태극[萬物統體一太極]
만물자득의[萬物自得意], 만물자생[萬物資生], 만물자시[萬物資始], 만물정관[萬物靜觀], 만물정관개자득[萬物靜觀皆自得], 만물중일례간[萬物中一例看], 만물지려[萬物之旅], 만물지령[萬物之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