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지로 가르치고 바꾸려 하지 마라[啓心明通계심명통 移化易及이화이급] <채근담/격언련벽>
남의 마음을 잘 이끌어 깨우쳐주는 사람은 그가 이해하는 데서부터 점차 통하게 할 뿐이지 꽉 막히어 있는 것을 억지로 열어젖히려 들지…
남의 마음을 잘 이끌어 깨우쳐주는 사람은 그가 이해하는 데서부터 점차 통하게 할 뿐이지 꽉 막히어 있는 것을 억지로 열어젖히려 들지…
큰일을 당하여 신중하게 대처하는 자도 작은 일에는 방종하고 해이하기 마련이고 밝은 마당에서 몸가짐을 엄격하게 하는 자도 어두운 방안에서는 제멋대로 행동하기…
만조[萬竈], 만조락향설[挽條落香雪], 만조백관[滿朝百官], 만조한옥[萬條寒玉], 만종[萬種], 만종[挽從], 만종경[萬鍾卿], 만종록[萬鍾祿], 만종봉록[萬鍾祿俸], 만종불변수[萬鍾不辨受], 만종지록[萬鍾之祿], 만종팔추[萬鍾八騶]
만정방[滿庭芳], 만정봉[幔亭峯], 만정순[萬正淳], 만정제신[滿廷諸臣], 만정채옥[幔亭彩屋], 만정청초증인심[滿庭靑草證人心]
만점[萬點], 만정[萬釘], 만정[萬井], 만정[蠻井], 만정[鰻井], 만정[幔亭], 만정[萬情], 만정골[滿頂骨], 만정도화[滿庭桃花], 만정란채증[幔亭爛綵繒]
산수는 문장의 최고의 경지이고 운무는 덧없는 부귀의 형상이다. 山水是文章化境, 煙雲乃富貴幻形. 산수시문장화경, 연운내부귀환형. <圍爐夜話위로야화> ※ “문장은 산수의 변화된 경지이고, 부귀는 운무처럼…
남과 얻고 잃음을 다툴 것 없이 오직 자기의 지식과 재능을 구하라. 不與人爭得失, 惟求己有知能. 불여인쟁득실, 유구기유지능. <圍爐夜話위로야화> 득실[得失] 얻음과 잃음. 이익(利益)과…
몸이 굶주리거나 춥지 않았으니 하늘은 나를 저버린 적이 없거늘 학문에 진전이 없다면 내가 무엇으로 하늘을 대하겠는가. 身不饑寒, 天未嘗負我. 學無長進, 我何以對天?…
총명함이 밖으로 드러나게 해서는 안 되니 옛사람 중에는 면류관 솜 방울로 귀를 가리고 면류관 술을 늘어뜨려 눈을 가린 이가 있었고…
천하(天下)의 합종(合從)이 이루어지자 조(趙)나라에서 위가(魏加)를 초(楚)나라 춘신군(春申君)에게 보내 말하게 하였다. “군(君)께서는 장군으로 임명할 적임자가 있으십니까?” 춘신군(春申君)이 말하였다. “있습니다. 나는 임무군(臨武君)을…
만절[晩節], 만절[萬折], 만절강하[萬折江河], 만절공명[晩節功名], 만절동사[萬折東瀉], 만절자황[晩節自況], 만절조종[萬折朝宗], 만절필동[萬折必東], 만절한화[晩節寒花], 만절향[晩節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