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귀영화보다 공덕과 문장을 후세에 전할 수 있어야 <圍爐夜話위로야화>
부귀와 영화를 자랑하더라도 공덕과 문장을 후세에 전할 수 있어야 하고 가르침으로 명성이 자자하더라도 인품과 마음씨는 사관을 속여 넘길 수 없다.…
부귀와 영화를 자랑하더라도 공덕과 문장을 후세에 전할 수 있어야 하고 가르침으로 명성이 자자하더라도 인품과 마음씨는 사관을 속여 넘길 수 없다.…
남에게 속아주는 것은 결코 나약한 것이 아니고 스스로 지혜롭다 여기는 것은 결국 정신이 흐리멍덩한 것이다. 甘受人欺, 定非懦弱. 自謂予智, 終是糊塗. 감수인기, …
만초[蔓草], 만초몽명[滿楚夢明], 만초손겸수익[滿招損謙受益], 만초유불가제[蔓草猶不可除], 만초한연[蔓草寒煙]
만천인[曼倩仁], 만천투도[曼倩偸桃], 만첩청산[萬疊靑山], 만청[晩晴], 만청부[晩晴賦], 만청자[蔓菁子], 만청전[萬靑錢]
만천명월[萬川明月] 만천(萬川)을 비추는 달빛. 정조(正祖)의 넓은 통치력을 말한다. 정조는 말년에 만천명월주인옹(萬川明月主人翁)이라고 자호(自號)하였는데 그 서(序)에서 “달은 하나뿐이고 물의 종류는 1만 개나…
만차악주[晩次鄂州], 만창[滿脹], 만천[萬川], 만천[曼倩], 만천귀지[萬川歸之], 만천급자[曼倩汲子]
만즉일[滿則溢], 만지[晩知], 만지[晩枝], 만지[蠻紙], 만지[滿志], 만지[萬指], 만지장서[滿紙長書], 만질[蔓瓞]
만주[晩周], 만주[萬州], 만주[蠻洲], 만주[滿住], 만주[灣州] 만주장경[滿州章京], 만주천자[滿洲天子], 만중운[萬重雲], 만중청전선[萬中靑錢選]
천하에 어리석은 사람이 없는데 어찌 함부로 속임수를 쓰겠으며 세상 모두가 괴로운 사람들인데 어찌 홀로 편안함을 누리겠는가. 天下無憨人, 豈可妄行欺詐. 천하무감인, 기가망행기사.…
곽임종은 사람의 부류를 감식함에 있어 대부분 세밀한 부분에 마음을 기울였고 왕언방은 향리의 풍속을 교화함에 있어 언제나 덕성과 신의를 중심으로 삼았다.…
고요한 가운데서 만물의 움직임을 살피고 한가한 곳에서 사람들의 바쁜 모습을 바라보아야 비로소 티끌 속세를 초탈한 참된 멋을 얻을 수 있고…
비리고 더러운 데는 파리 등에 모여 빨고 꽃다운 향기에는 벌 나비 서로 달려드니 이에 군자는 더러운 업적 만들지 않고 좋은…